홈 > AI활용 > 당장 사용가능한 대한민국 AI TOP 5 완벽 가이드
2025년 대한민국 인공지능 기술
2025년 현재, 대한민국의 인공지능 기술은 글로벌 시장에서 독자적인 위치를 확보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어 특화 AI 모델과 실용적인 서비스 구현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국내 AI 시장은 네이버, 삼성, LG, 카카오, SKT 등 대기업들이 주도하며, 업스테이지 같은 스타트업도 글로벌 무대에서 인정받고 있습니다. 정부의 'AI 기본법' 시행과 함께 제도적 기반도 마련되어, 2025년은 한국 AI 산업의 새로운 도약점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를 이끌 국가대표 최정예 다섯 팀을 확정했습니다. 포털·클라우드의 강자 네이버클라우드, 1000억 파라미터급 AI 모델 '엑사원(EXAONE)'을 앞세운 LG AI연구원, 890만 실사용자 '에이닷'을 보유한 SK텔레콤, 14년 AI 연구개발(R&D) 내공의 AI 전문기업 NC AI와 대기업군 속 유일한 스타트업 업스테이지가 그 주인공입니다. | 공감언론 뉴시스 |
[ 차례 ] |
또한, 이재명 정부의 등장과 함께 대한민국 정부가 인공지능(AI) 기술 자립과 생태계 확장을 목표로 국내 정예팀을 뽑아 독자 모델 개발에 나서기위한 '대한민국 대표 AI'를 선정하는 절차가 진행중이기도 합니다. 글로벌 기업 중심의 AI 주도권 구도를 견제하고 기술 주권을 확보하기 위해서입니다.
외국 AI와의 경쟁력
한국 AI의 가장 큰 차별화 요소는 '소버린 AI(주권 AI)' 전략과 한국어 특화 기술입니다.
오픈AI의 ChatGPT나 구글의 Gemini가 범용성에 중점을 둔다면, 한국 AI는 실제 서비스 적용과 한국 문화 이해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특히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X는 한국어와 한국 문화 맥락 이해에서 글로벌 모델을 능가하는 성능을 보여줍니다. LG의 엑사원은 미국 스탠퍼드대가 선정한 '주목할 만한 AI 모델'로 인정받으며, 한국이 AI 분야에서 독자적 역량을 갖고 있음을 증명했습니다. 또한 한국 AI는 제조업, 의료, 교육 등 특정 산업 분야에 특화된 전문가 AI 개발에 강점을 보이고 있습니다.
1. 네이버 하이퍼클로바 X & 클로바 스튜디오
특장점 및 활용분야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X는 한국의 문화와 맥락을 가장 잘 이해하는 생성형 AI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2023년 8월 출시된 이 모델은 국내 최초의 자체 개발 초거대 언어모델로, 한국어 이해력에서 다른 모든 AI를 압도합니다. 특히 비즈니스 활용에 최적화되어 있어, 기업용 협업툴 네이버웍스와 연동하여 실무진들의 업무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클로바 스튜디오를 통해 AI 개발 지식이 없는 사용자도 몇 줄의 프롬프트만으로 원하는 AI 모델을 구축할 수 있어, 중소기업들에게도 AI 기술의 문턱을 낮춰주고 있습니다.
한국어 지원
하이퍼클로바X는 한국어 원어민 수준의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하며, 한국의 고유한 문화적 맥락과 관습을 이해합니다. 예를 들어, 존댓말과 반말의 구분, 지역별 방언, 한국 특유의 인터넷 용어나 신조어까지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국의 역사, 문화, 시사상식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맥락에 맞는 답변을 제공합니다. 이는 글로벌 AI 모델들이 단순 번역 수준에 머무르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 진정한 한국어 AI라고 할 수 있습니다.
로컬AI로의 활용
클로바 스튜디오는 온프레미스(기업 내부 서버) 환경에서도 구동할 수 있어, 보안이 중요한 제조업체나 금융기관에서 안전하게 AI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기업의 고유 데이터로 모델을 파인튜닝하여 해당 업계에 특화된 AI를 구축할 수 있어, 제조업 데이터 분석, 품질 관리, 예측 보전 등에 직접 적용이 가능합니다. 2025년 현재 2,000개 이상의 기업이 클로바 스튜디오를 활용하고 있으며, 교육, 금융, 유통, 글로벌 사업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성공 사례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응용 어플리케이션 활용
초급 개발자도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클로바 스튜디오 API를 통해 다양한 제조업 특화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조라인의 불량품 자동 탐지 시스템, 작업자 안전 모니터링, 설비 고장 예측, 품질 검사 자동화 등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Function calling 기능을 활용하면 외부 데이터베이스나 API와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생산 데이터를 분석하고 최적화 방안을 제시하는 지능형 MES(제조실행시스템)도 구축 가능합니다. 또한 하이퍼클로바X의 멀티모달 기능을 활용하면 도면, 매뉴얼, 작업 지시서 등의 문서를 자동으로 분석하고 요약하는 솔루션도 개발할 수 있습니다.
개발자 리소스 및 시작 가이드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 https://www.ncloud.com/product/aiService/clovaStudio
- API 문서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 AI Services > CLOVA Studio
- SDK 다운로드 : Python, Java, Node.js SDK 제공
- 개발자 등록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회원가입 후 서비스 신청
- 가격 정책 : Token 기반 종량제, 무료 크레딧 제공
- 기술 지원 : 24시간 고객지원센터, 개발자 커뮤니티, 기술 문서
- 튜토리얼 : 클로바 스튜디오 시작 가이드 및 샘플 프로젝트 제공
2. LG 엑사원(EXAONE)
특장점 및 활용분야
LG의 엑사원(EXAONE)은 '인간을 위한 전문가 AI'라는 의미로, 실제 산업 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전문성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2025년 1월 공개된 최신 버전 엑사원 4.0은 하이브리드 모델로서, 추론 모델과 비추론 모델을 결합하여 매개변수 320억개(32B)의 작은 크기임에도 불구하고 훨씬 큰 글로벌 모델들과 경쟁할 수 있는 성능을 보여줍니다. 특히 화학, 의학, 바이오 분야의 전문 데이터를 대량 학습하여 연구개발 분야에서 전문가 수준의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엑사원의 가장 큰 강점은 경량화 기술로, 소비 전력을 72%나 절약하면서도 성능은 56% 향상시킨 효율성입니다.
한국어 지원
엑사원은 한국어와 영어를 동시에 처리하는 이중언어(Bilingual) 모델로 설계되어, 한국어 성능에서 세계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의 과학기술 문헌, 특허, 논문 등 전문 분야 데이터를 집중적으로 학습하여 국내 연구자들이 필요로 하는 전문 용어와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합니다. 2025년 말까지 법률, 바이오, 의료, 교육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하여 학습 데이터를 1억건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라고 발표했습니다. 또한 기업별 고유명사나 전문용어를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각 산업별 특성에 맞춘 맞춤형 한국어 AI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로컬AI로의 활용
LG는 엑사원을 온디바이스부터 클라우드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초경량 모델부터 고성능 모델까지 용도별로 최적화했습니다. 제조업 현장에서는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도 동작하는 경량 모델을 활용하여 실시간 품질 검사, 설비 모니터링, 작업자 안전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LG 계열사들의 실제 제조 데이터로 파인튜닝된 모델들이 이미 현장에 적용되어 검증된 성능을 보여주고 있어, 다른 제조업체들도 안심하고 도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엑사원 온프레미스 솔루션을 통해 기업 내부망에서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어 보안이 중요한 제조업 환경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응용 어플리케이션 활용
초급 개발자들은 LG에서 제공하는 챗엑사원(ChatEXAONE) API를 활용하여 제조업 특화 솔루션을 쉽게 개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생산라인의 센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이상 징후를 탐지하는 시스템이나, 작업 매뉴얼을 자동으로 분석하여 작업자에게 단계별 가이드를 제공하는 AR 앱 등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엑사원 데이터 파운드리 플랫폼을 활용하면 제조업체의 고유 데이터를 안전하게 학습시켜 해당 기업만의 전용 AI 모델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특히 화학전문가 AI나 크리에이티브 툴킷과 같이 이미 검증된 산업별 특화 모델들을 기반으로 하여 개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약할 수 있습니다.
개발자 리소스 및 시작 가이드
- LG AI연구원 공식 사이트: https://www.lgresearch.ai/exaone/
- 챗엑사원 베타 신청: 기업 및 공공기관 대상 오픈베타 운영 중
- 오픈소스 모델: Hugging Face에서 EXAONE 3.0, 4.0 모델 다운로드 가능
- API 접근: LG AI연구원 파트너십 프로그램 신청 필요
- 지원 언어: Python, REST API
- 엑사원 온프레미스: 기업 내부망 설치용 솔루션 제공
- 데이터 파운드리: 맞춤형 AI 모델 구축 플랫폼
- 기술 지원: LG AI연구원 개발자 지원팀, 파트너사 전용 기술 문서
- 교육 프로그램: LG AI 토크콘서트, 찾아가는 AI 랩 등 정기 교육 제공
3. 카카오 카나나(Kanana)
특장점 및 활용분야
카카오의 카나나는 '가장 나다운 AI'라는 콘셉트로 개발된 차세대 커뮤니케이션 AI입니다.
2025년 5월 CBT(Closed Beta Test)를 시작한 카나나의 가장 큰 혁신은 그룹 대화에서도 작동하는 AI 메이트 기능입니다. 기존 AI 서비스들이 1:1 대화에 국한되었다면, 카나나는 여러 사람이 참여하는 그룹 채팅에서 대화의 맥락을 파악하고 적절한 조언이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제조업 환경에서는 팀 단위의 프로젝트 관리, 회의록 자동 생성, 업무 협업 지원 등에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원격 근무나 하이브리드 근무 환경에서 팀원들 간의 소통을 원활하게 돕는 역할을 합니다.
한국어 지원
카카오톡의 5천만 사용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발된 카나나는 한국인의 실제 대화 패턴과 소통 방식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카나나는 존댓말과 반말, 지역 방언, 세대별 언어 특성까지 이해하며, 한국인 특유의 간접적이고 맥락적인 의사소통 방식도 정확하게 파악합니다. 또한 오픈AI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글로벌 AI 기술과 한국 특화 기술을 결합한 'AI 모델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을 구사하여, 상황에 따라 최적의 AI 모델을 선택해 응답합니다. 개인메이트 '나나'와 그룹메이트 '카나'는 각각 다른 성격과 말투로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한국어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합니다.
로컬AI로의 활용
카카오는 카나나를 통해 기업용 협업 도구로도 확장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카카오워크와 연동하여 사내 메신저에서 AI가 회의 일정 조율, 프로젝트 진행 상황 정리, 업무 할당 등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 제조업체에서는 생산팀, 품질관리팀, 엔지니어링팀 등 각 부서별 그룹 채팅방에 카나나를 추가하여 부서간 업무 협조와 정보 공유를 효율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카나나의 학습 능력을 활용하면 사용할수록 해당 조직의 업무 패턴과 용어를 학습하여 점점 더 정확하고 유용한 업무 지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응용 어플리케이션 활용
초급 개발자들은 카카오의 카나나 API를 활용하여 제조업 특화 협업 도구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생산 현장의 문제 상황을 그룹 채팅으로 신고하면 AI가 자동으로 관련 부서에 알림을 보내고 대응 매뉴얼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나, 일일 생산 실적을 자동으로 분석하여 팀원들에게 리포트를 전달하는 봇 등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카나나의 감정 인식 기능을 활용하면 작업자들의 스트레스 수준이나 업무 만족도를 파악하여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웰빙 관리 시스템도 개발 가능합니다. 또한 오픈AI와의 제휴로 확보한 고급 AI 기능들을 통해 복잡한 기술 문서를 쉽게 요약하거나, 외국 협력업체와의 다국어 소통을 지원하는 솔루션도 구축할 수 있습니다.
개발자 리소스 및 시작 가이드
- 카카오 개발자 센터 : https://developers.kakao.com
- 카카오 AI모델 다운로드 : https://huggingface.co/kakaocorp
- 카나나 앱 다운로드 : Google Play Store, Apple App Store
- CBT 참여 신청 : 카나나 앱 설치 후 선착순 가입
- 카카오워크 연동 : 기업용 협업 도구 API 제공 예정
- 개발 도구 : 카카오 SDK for Android/iOS
- API 문서 : 카나나 정식 출시 후 공개 예정
- 오픈AI 연동 : 카카오와 오픈AI 전략적 제휴를 통한 고급 AI 기능 제공
- 지원 언어 : RESTful API, Kotlin, Swift
- 기술 지원 : 카카오 개발자 커뮤니티, if(kakao) 개발자 컨퍼런스
- 베타 피드백 : 3주마다 정기 업데이트, 사용자 피드백 적극 반영
4. 뤼튼(Wrtn) - 떠오르는 AI 플랫폼 강자
특장점 및 활용분야
뤼튼은 500만 명이 사용하는 한국 최대 AI 플랫폼으로, 2023년 12월부터 모든 서비스를 전면 무료화하며 급성장하고 있는 중소기업 AI 강자입니다.
뤼튼의 가장 큰 차별점은 여러 AI 모델(GPT-4o, GPT-4.5, o1, Claude 3.7, Gemini 2 등)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통합하여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사용자가 직접 모델을 선택할 수도 있고, AI가 자동으로 상황에 맞는 최적의 모델을 선택해주는 'AI 모델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제조업 환경에서는 업무 자동화, 문서 요약, 다국어 번역, 기술 문서 분석, 품질 관리 리포트 작성 등 다양한 업무에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2025년 새롭게 도입된 'AI 서포터' 기능을 통해 개인화된 업무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한국어 지원
뤼튼은 한국어 특화 AI 서비스의 선두주자로, 국내 사용자들의 언어 패턴과 문화적 맥락을 깊이 이해합니다.
AI 서포터는 대화할수록 사용자를 더 잘 이해하게 되어 개인 맞춤형 한국어 서비스를 제공하며, 10배 향상된 기억력으로 이전 대화 내용을 바탕으로 연속성 있는 한국어 대화가 가능합니다. 특히 한국인의 업무 스타일과 소통 방식에 최적화되어 있어, 존댓말과 반말의 구분, 업계별 전문 용어, 한국 기업 문화에 특화된 표현들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실시간 검색 기능을 통해 최신 한국어 정보와 트렌드를 반영한 답변을 제공하며, 인터넷 검색이 필요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자동으로 구분하여 효율적인 정보 제공이 가능합니다.
로컬AI로의 활용
뤼튼은 Microsoft Azure와 AWS 기반의 안정적인 클라우드 인프라를 활용하면서도, 향후 온프레미스 솔루션 제공을 계획하고 있어 보안이 중요한 제조업 환경에도 적합합니다. 특히 다양한 AI 모델을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비용 효율성과 성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습니다. 제조업체에서는 간단한 문의에는 경량 모델을, 복잡한 기술 분석에는 고성능 모델을 자동으로 할당하여 운영비용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는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암호화되어 저장되며, 외부에서 열람할 수 없는 방식으로 처리되어 기업의 민감한 정보도 안전하게 보호됩니다. 뤼튼의 'AI 스튜디오' 기능을 활용하면 제조업 특성에 맞는 커스텀 AI 도구를 직접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응용 어플리케이션 활용
초급 개발자들은 뤼튼의 API를 활용하여 제조업 특화 AI 솔루션을 쉽게 개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생산 일보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시스템이나, 기술 문서를 실시간으로 번역하고 요약하는 도구, 품질 관리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AI 어시스턴트 등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뤼튼의 멀티모달 기능을 활용하면 이미지와 텍스트를 함께 분석하여 제품 검사 보고서를 자동 생성하거나, 설비 사진을 업로드하면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책을 제안하는 시스템도 구축 가능합니다. 또한 AI 서포터의 학습 기능을 활용하여 해당 제조업체의 고유한 업무 패턴과 용어를 학습시켜, 점점 더 정확하고 유용한 업무 지원을 제공하는 맞춤형 AI 비서를 만들 수 있습니다.
개발자 리소스 및 시작 가이드
- 뤼튼 공식 사이트 : https://wrtn.ai
- 뤼튼 앱 다운로드 : Google Play Store, Apple App Store
- 개발자 API : 2025년 하반기 공개 예정 (베타 신청 가능)
- AI 스튜디오 : 사용자 맞춤 AI 도구 제작 플랫폼
- 지원 모델 : GPT-4o, GPT-4.5, o1, Claude 3.7, Gemini 2, PaLM 2 등
- 서비스 요금 : 완전 무료 (2025년 현재)
- 캐시 시스템 : 출석체크, 미션 완료로 추가 혜택 획득 가능
- 파트너십 : Microsoft Azure, AWS 기반 안정적 서비스
- 기술 지원 : 뤼튼 고객센터, 온라인 도움말, 커뮤니티 지원
- 미래 계획 : 온프레미스 솔루션, 엔터프라이즈 API, 한국어 전용 모델 개발 예정
5. SKT 에이닷(A.) & 업스테이지 솔라(SOLAR)
특장점 및 활용분야
SKT의 에이닷은 500만 명이 사용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AI 개인비서 서비스로, 실생활에 밀착된 AI 경험을 제공합니다.
특히 AI 전화 기능은 통화 녹음, 요약, 실시간 통역까지 지원하여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을 혁신하고 있습니다. 에이닷의 차별점은 마이크로소프트 Azure OpenAI의 ChatGPT 모델과 자체 LLM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구조로, 상황에 따라 최적의 AI를 선택해 서비스합니다.
업스테이지의 솔라는 경량화에 특화된 오픈소스 LLM으로, 메타의 Llama나 구글의 Gemma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며 카카오톡의 AskUp 챗봇에도 적용되어 검증된 기술력을 인정받았습니다.
한국어 지원
에이닷은 한국어 음성인식과 자연어처리에서 탁월한 성능을 보여줍니다.
특히 통화 중 실시간 통역 기능은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를 지원하며, 한국어 화자의 발음 특성과 억양을 정확하게 인식합니다. 스캐터랩과의 협업으로 개발된 A. 프렌즈는 한국인의 대화 스타일에 맞춘 감성대화 AI로, '길빛나', '육제이', '강하루' 등 각기 다른 성격의 캐릭터가 자연스러운 한국어 대화를 제공합니다. 업스테이지 솔라는 한국어와 영어를 동시에 처리하는 이중언어 모델로, 번역 서비스에서 문단별로 일관된 번역 톤을 유지하는 등 한국어 처리에 특화된 기능을 제공합니다.
로컬AI로의 활용
에이닷의 통화 관련 기능들은 mVoIP 기술을 활용하여 통신사 인프라 내에서 안전하게 처리되므로, 기업의 민감한 통화 내용도 보안을 유지하면서 AI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제조업체에서는 협력업체와의 통화 내용을 자동으로 녹음하고 요약하여 계약 협상이나 기술 협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솔라는 완전한 오픈소스 라이선스로 제공되어 기업이 자유롭게 수정하고 재배포할 수 있으며, 경량화된 구조로 제한된 컴퓨팅 자원에서도 효율적으로 동작합니다. 따라서 중소 제조업체에서도 비용 부담 없이 고성능 AI를 도입할 수 있습니다.
응용 어플리케이션 활용
초급 개발자들은 에이닷 API와 솔라 모델을 조합하여 제조업 특화 음성 AI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생산 현장에서 작업자가 음성으로 생산 실적이나 품질 이슈를 보고하면 자동으로 텍스트로 변환하여 관리 시스템에 등록하는 음성 보고 시스템이나, 외국인 근로자와의 안전 교육을 실시간 통역으로 진행하는 교육용 앱 등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솔라의 번역 기능을 활용하면 해외 수출용 제품의 매뉴얼이나 품질 인증서를 일관된 톤으로 번역하는 자동화 시스템도 구축 가능합니다. 또한 에이닷의 일정 관리와 알림 기능을 제조업 특성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하여 생산 계획, 설비 점검 일정, 안전 교육 스케줄 등을 통합 관리하는 스마트 팩토리 관리 앱도 개발할 수 있습니다.
개발자 리소스 및 시작 가이드
SKT 에이닷
- 에이닷 공식 사이트 : https://a.sktelecom.com
- 에이닷 앱 다운로드 : Google Play Store, Apple App Store
- 개발자 API : SKT 파트너 프로그램 신청 필요
- 에이닷 전화 : SKT 고객 전용, T전화에서 자동 업그레이드
- 지원 기능 : 음성인식, 통화녹음, 실시간 통역, 일정관리
- SDK : Android, iOS 네이티브 SDK 제공
- 요금제 : SKT 고객 기본 무료, 일부 기능 사용량 기반 과금
업스테이지 솔라
- 업스테이지 공식 사이트 : https://www.upstage.ai
- 솔라 모델 다운로드 : Hugging Face - upstage/SOLAR
- API 서비스 : Upstage Console에서 API 키 발급
- 오픈소스 라이선스 : Apache 2.0 - 완전 자유 사용
- 지원 플랫폼 : Python, REST API, Docker
- 번역 서비스 : https://translate.upstage.ai (베타 무료 제공)
- 카카오톡 연동 : AskUp 챗봇에서 솔라 모델 체험 가능
- 기술 지원 : GitHub 커뮤니티, 공식 문서, 개발자 포럼
6. 보너스 : 기업급 솔루션을 원한다면 - 제논(GenON)
왜 제논인가?
제논(GenON)은 대기업과 공공기관을 위한 기업급 생성형 AI 솔루션 전문가입니다.
2017년 마인즈앤컴퍼니로 시작하여 2025년 제논으로 사명을 변경한 이 회사는 우리은행, 한국은행, 삼성화재, BC카드, 롯데손해보험, 미래에셋증권, 한국중부발전 등 국내 최고 수준의 기업들이 신뢰하는 AI 파트너입니다. 특히 보안이 중요한 폐쇄망 환경에서도 생성형 AI를 안전하게 구축할 수 있는 국내 몇 안 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제조업계의 민감한 데이터를 다루는 기업들에게 최적의 선택입니다.
생성 인공지능(AI) 전문 제논은 최근 매개변수 32B(320억개) 사이즈의 대형언어모델(LLM)과 이미지-텍스트 멀티모달 모델(VLM) 2종을 공개했습니다. 제논은 언어모델 ‘훈민-32B v0.1’은 10일, 멀티모달 모델 ‘훈민VL-32B v0.1’는 24일 허깅페이스에 개발자 프리뷰(알파) 형태로 출시했으며, 두 모델은 '큐원2.5'를 기반으로 한 한국어 전용 모델입니다. 별도 학습 없이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에 토큰을 마스킹해 언어혼동(Language Confusion)을 억제하고 한국어 생성 능력을 보존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었습니다. 제논은 모델뿐 아니라 학습 데이터, 정제·라벨링·합성 파이프라인, 코드 및 학습 레시피 전반을 공개했다. < 출처 : AI타임스(https://www.aitimes.com) >
제조업 특화 기업급 AI 솔루션
제논의 GenOS 플랫폼은 단순한 챗봇을 넘어서 진정한 비즈니스 혁신을 위한 AI 에이전트들을 제공합니다.
리서치 에이전트는 제조업체의 방대한 기술 문서와 특허 정보를 분석하여 연구개발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데이터 분석 에이전트는 생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품질 개선 방안을 도출합니다. 문서 생성 에이전트는 품질 보고서, 안전 매뉴얼, 규정 준수 문서를 자동으로 작성하며, 액션 에이전트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실행 계획까지 제시합니다. 특히 한국중부발전과의 협업을 통해 발전사 최초로 폐쇄망 환경에서 생성형 AI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구축한 경험은 제조업 현장의 보안 요구사항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언제 제논을 선택해야 할까?
제논을 선택해야 하는 경우
- 대기업 또는 상장사 수준의 제조업체
- 보안이 극도로 중요한 산업 (국방, 에너지, 화학 등)
- 기존 ERP, MES 시스템과의 복잡한 연동이 필요한 경우
- 규제 준수와 감사 대응이 중요한 환경
- 수백 명 이상의 직원이 사용할 기업용 AI 구축
- 맞춤형 AI 모델 개발과 전문 컨설팅이 필요한 프로젝트
뤼튼이 더 적합한 경우
-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
- 빠른 프로토타입 개발이 필요한 경우
- 예산이 제한적인 프로젝트
- 개발팀의 AI 경험이 부족한 경우
- 즉시 사용 가능한 솔루션이 필요한 상황
개발자를 위한 제논 활용 가이드
제논의 GenOS는 노코드/로우코드 환경을 제공하여 초급 개발자도 복잡한 기업용 AI 솔루션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AI 워크플로우를 설계하고, 기업의 고유 데이터를 안전하게 학습시켜 맞춤형 AI 에이전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특히 AI 번역가(AI Translator) 개념으로 복잡한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AI 기술로 변환하는 과정을 체계화했기 때문에, 기술적 배경이 부족한 현업 담당자들도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전략 컨설팅 출신, 캐글 컴피티션 마스터, AI 박사들로 구성된 전문팀의 기술 지원을 받을 수 있어, 초급 개발자도 엔터프라이즈급 AI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수할 수 있습니다.
비즈니스 성장성과 투자 가치
제논은 2025년 삼성증권을 주관사로 선정하여 코스닥 IPO를 준비 중인 회사로, 한국 AI 업계에서 높은 성장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행정안전부 장관상 수상,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등 공공분야 진출, 그리고 금융권을 넘어 제조·에너지 분야로의 사업 확장은 제논의 기술력과 시장 경쟁력을 입증합니다. 초급 개발자들이 제논과 같은 기업급 AI 솔루션 구축 경험을 쌓는다면, 향후 AI 전문가로 성장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한 제논의 성공 사례와 방법론을 학습하여 중소기업 환경에서도 고품질의 AI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는 노하우를 축적할 수 있습니다.
제논과의 협력 방법
- 공식 웹사이트: https://genon.ai
- 비즈니스 문의: hello@genon.ai
- 본사: 서울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2621 플래그원 13층
- 전화: 02-2088-6035
- 주요 서비스: GenOS 플랫폼, 맞춤형 AI 에이전트, 폐쇄망 AI 구축
- 고객 지원: 전담 컨설턴트 배정, 24시간 기술 지원
- 교육 프로그램: AI 익스피리언스 데이, GenOS 활용 워크샵
- 파트너십: 기업 규모와 요구사항에 따른 맞춤형 협력 모델 제공
결론 : 2025년 한국 AI의 미래
2025년 현재, 대한민국의 AI 기술은 글로벌 시장에서 독자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며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X, LG의 엑사원, 카카오의 카나나, 뤼튼 AI 플랫폼, SKT의 에이닷과 업스테이지의 솔라까지, 각각의 AI는 고유한 특색과 강점을 바탕으로 한국인의 일상과 산업 현장을 혁신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어 특화 기술과 실용적인 서비스 구현에서 보여주는 성과는 글로벌 AI 기업들과는 차별화된 한국만의 독창적인 AI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초급 개발자들에게 있어 이러한 국산 AI 기술들은 단순한 도구를 넘어서 창의적인 솔루션을 구현할 수 있는 강력한 플랫폼이 되고 있습니다. 제조업을 비롯한 전통 산업과 AI 기술의 융합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한국 AI의 실용성과 접근성은 중소기업과 개발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함께 더욱 혁신적이고 사용자 친화적인 AI 서비스들이 등장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통해 대한민국이 글로벌 AI 강국으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추가 학습 리소스 및 커뮤니티
공식 개발자 커뮤니티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커뮤니티 : https://community.ncloud.com
- LG AI연구원 개발자 포럼 : https://www.lgresearch.ai/community
- 삼성 개발자 커뮤니티 : https://forum.developer.samsung.com
- 카카오 개발자스 : https://developers.kakao.com/community
- 업스테이지 깃허브 : https://github.com/UpstageAI
정기 교육 프로그램
- NAVER AI NOW : 네이버 AI 기술 컨퍼런스 (연 1회)
- LG AI 토크콘서트 : LG AI연구원 정기 세미나 (분기별)
- if(kakao) : 카카오 개발자 컨퍼런스 (연 1회)
- SKT AI Fellowship : SKT AI 개발자 양성 프로그램
- 업스테이지 워크샵 : 솔라 모델 활용 워크샵 (월 1회)
온라인 학습 자료
- 클로바 스튜디오 튜토리얼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Academy
- 엑사원 활용 가이드 : LG AI연구원 공식 문서
- 갤럭시 AI 개발 가이드 : Samsung Developers 플랫폼
- 카나나 API 문서 : 카카오 개발자센터 (출시 후 공개 예정)
- 솔라 모델 활용법 : Upstage AI Blog 및 YouTube 채널
제조업 특화 AI 활용 사례집
- 스마트팩토리 AI 도입 사례 : 중소벤처기업부 발간
- 제조 AI 성공사례 모음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제공
- Industry 4.0 한국형 모델 : 산업통상자원부 가이드라인
- AI 기반 품질관리 매뉴얼 : 한국표준협회 제공
이러한 리소스들을 적극 활용하여 한국 AI 기술의 최신 동향을 파악하고, 실제 비즈니스 현장에서의 성공적인 AI 도입을 위한 지식과 경험을 쌓아나가시기 바랍니다.
'AI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조 AI] 2-1) 로컬 AI 인프라 구축 - 하드웨어부터 개발환경까지 (11) | 2025.08.15 |
---|---|
도면 작성을 생성형 AI로 전문가처럼 할 수 있다 (17) | 2025.08.12 |
[제조 AI] 01) 제조업을 위한 로컬 AI 도입계획 (15) | 2025.08.04 |
2024년 인공지능(AI) 플랫폼 순위 (3) | 2025.07.23 |
이미지 생성을 위한 AI 서비스 추천 : 미래를 상상하다 (4) | 2025.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