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I 기획 및 분석

[디바이스 AI] 임베디드 AI (Embedded AI)의 이해

by 피크나인 2025. 10. 2.

임베디드 AI는 대용량 언어모델(LLM)과 달리 서버 기반에서의 실행이 아닌 산업용 센서, 자동차 등의 자율주행등 IoT기반의 실시간 결정을 위해 물리적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해당 사물에 인공지능을 삽입하는 기술로 디바이스AI 기술의 한 분야라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임베디드 AI기술은 제품의 전체에서 사용되기 보다는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부품에 삽입되어 해당 기능에 인공지능을 부여하는 기술이라고 보는게 좋을 듯 합니다.

  • 시장 동향 : 2025년 임베디드AI MediumPromwad는 AIoT(AI+IoT)로 진화하며 엣지컴퓨팅 시장이 2028년까지 8,000억 달러를 넘어설 전망이며, IoT 디바이스가 188억 개에 달하면서 실시간 로컬 데이터 처리가 핵심 트렌드로 부상했습니다.
  • 기술 특징 : 마이크로컨트롤러, 산업용 센서, 자율주행차량 등 제한된 하드웨어 환경에서 AI를 직접 실행하며, 실시간 결정(밀리초 단위), 극저전력 설계, 오프라인 작동이 가능합니다. EzurioBacancy Systems
  • 핵심 기술 : TPU, NPU 등 AI 전용 가속기와 RISC-V 아키텍처가 확산되며, 센서 퓨전(카메라+LiDAR+레이더)을 통한 실시간 인지 능력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PromwadEcssria
  • LLM과의 차이점 : 클라우드 기반 범용 LLM(수억에서 수십억 파라미터) 인공지능을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지연시간 및 보안성 약화에 반해 결정론적 지연시간과 안전성을 보장합니다. PromwadFindernest
  • 적용 분야 : 스마트 감시(실시간 위협 탐지), 산업 IoT(결함 검출), 예측 유지보수, 자율주행(분할초 의사결정), 웨어러블 헬스케어 등이 주요 응용 분야입니다. PromwadTechTarget
  • 당면 과제 : 하드웨어 파편화, 열/전력 제약, 모델 업데이트의 어려움, 보안 취약점(적대적 공격), 실시간 보장 요구 등이 주요 기술적 장벽으로 남아있습니다. Edge AI in Embedded Devices: What’s New in 2025 for IoT and EVs

이 전의 [제조 AI]관련된 아래의 블로그 글에서 제조업에서 인공지능 기술 도입시 산업장비 및 센서에 설치되어 엣지 컴퓨팅이 가능하게 하는 방법에 대해 다룬적이 있습니다. 산업붐야에서 임베이드 AI를 도입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의 글을 참고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이 블로그 글은 일반인에게 물리적 AI의 종류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돕기위해 작성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제조 AI에서의 임베디드 AI 도입]을 위한 블로그 글을 참조하세요. 


1. 임베디드 AI란 무엇일까요?  |  Definition

임베디드 AI는 특정 목적에 특화된 하드웨어 시스템에 인공지능 기능을 직접 내장하는 기술입니다.

범용 컴퓨터나 스마트폰과 달리, 임베디드 AI는 단일 기능 또는 제한된 기능 집합에 최적화되어 설계됩니다. IoT 센서, 산업용 컨트롤러, 의료기기, 자동차 ECU(Electronic Control Unit), 스마트 가전제품 등에 탑재되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즉각적인 의사결정을 수행합니다. 2025년 현재 전 세계 임베디드 AI 시장은 연평균 25%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며 급속히 확산되고 있습니다.

 

임베디드 AI의 핵심 특징은 '특화성'과 '효율성'입니다.

특정 작업에만 집중하도록 설계되므로 그 분야에서는 매우 높은 성능과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카메라의 얼굴 인식 기능, 공장 자동화 시스템의 불량품 검출, 자동차의 충돌 방지 시스템 등이 대표적인 임베디드 AI 사례입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수년에서 수십 년간 안정적으로 동작해야 하므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매우 긴밀하게 통합되어 설계됩니다.

 

기술 발전 역사를 보면, 1990년대 초기 임베디드 시스템은 단순한 제어 로직만 구현했지만, 2010년대 들어 머신러닝 알고리즘이 적용되기 시작했습니다. 2020년 이후에는 딥러닝 기반의 고도화된 AI 기능이 다양한 임베디드 시스템에 적용되면서, 단순한 제어를 넘어 복잡한 패턴 인식과 예측 기능까지 구현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ARM Cortex-M 시리즈와 같은 저전력 마이크로컨트롤러에 AI 가속 기능이 추가되면서 임베디드 AI의 대중화가 가속화되었습니다.

산업용 로봇에 내장된 임베디드 AI 마이크로칩과 자동화 시스템을 보여주는 이미지


2.  임베디드 AI의 특징  |  Characteristics

임베디드 AI의 첫 번째 특징은 극도로 최적화된 하드웨어 설계입니다. 특정 AI 작업에만 집중하므로 불필요한 기능을 제거하고 필수 기능만 남겨 하드웨어 비용과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음성 인식 전용 칩은 오디오 신호 처리에만 특화되어 설계되므로, 범용 프로세서 대비 1/10 수준의 전력으로도 동일한 성능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화 설계는 배터리로 동작하는 IoT 기기에서 특히 중요한 장점입니다.

 

실시간 처리 능력도 임베디드 AI의 핵심 특징입니다. 임베디드 시스템은 보통 결정론적 응답시간(Deterministic Response Time)이 요구되므로, AI 추론 시간도 매우 예측 가능해야 합니다. 자동차의 긴급 제동 시스템의 경우 장애물 감지부터 제동 명령까지 10밀리초 이내에 완료되어야 하며, 이러한 실시간 제약을 만족하기 위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모두 최적화됩니다. 또한 인터럽트 처리와 우선순위 스케줄링을 통해 중요한 AI 작업이 항상 우선 처리되도록 보장합니다.

 

메모리와 저장공간 효율성도 중요한 특징입니다. 임베디드 시스템은 보통 킬로바이트에서 메가바이트 수준의 제한된 메모리를 갖고 있으므로, AI 모델도 이러한 제약 내에서 동작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8비트 양자화, 모델 압축, 가중치 공유 등의 기술이 적극 활용됩니다. 최근에는 TinyML이라는 분야가 등장하여 수 킬로바이트 크기의 초소형 AI 모델로도 실용적인 기능을 구현하는 연구가 활발합니다.

 

신뢰성과 안전성 측면에서는 일반적인 AI 시스템보다 더 높은 기준이 적용됩니다. 임베디드 AI 시스템은 보통 사람의 생명과 안전에 직결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하드웨어 오류나 소프트웨어 버그에 대한 안전장치가 필수적입니다. 이를 위해 이중화(Redundancy), 오류 검출 및 정정(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안전 모드 전환 등의 기술이 적용됩니다.


3. 임베디드 AI의  특장점  |  Advantages

임베디드 AI의 가장 큰 장점은 전력 효율성입니다. 특정 작업에 특화된 하드웨어는 범용 프로세서 대비 10배에서 100배 높은 전력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Google의 Edge TPU는 초당 4조 번의 연산을 2와트의 전력으로 수행할 수 있어, 배터리로 동작하는 IoT 기기에서도 고성능 AI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스마트 시티, 농업 IoT, 환경 모니터링 등 전력 공급이 어려운 환경에서 특히 중요한 장점입니다.

 

비용 효율성도 뛰어납니다. 대량 생산 시 임베디드 AI 칩의 단가는 몇 달러에서 몇십 달러 수준으로 매우 저렴합니다. 클라우드 기반 AI 서비스의 경우 사용량에 따른 지속적인 비용이 발생하지만, 임베디드 AI는 초기 하드웨어 비용 이후 추가 운영비용이 거의 없습니다. 특히 수백만 대의 기기를 배포하는 대규모 IoT 프로젝트에서는 이러한 비용 절감 효과가 매우 큽니다.

 

응답 시간 측면에서는 네트워크 지연이 완전히 제거되어 마이크로초 단위의 초고속 응답이 가능합니다. 산업용 로봇의 실시간 제어, 자동차의 충돌 회피 시스템, 의료기기의 응급 상황 감지 등에서 이러한 즉시성은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관계없이 항상 일관된 성능을 제공할 수 있어 시스템 신뢰성이 높습니다.

 

데이터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 측면에서도 우수합니다. 모든 데이터 처리가 기기 내부에서 이루어지므로 외부 유출 위험이 최소화됩니다. 특히 의료 정보, 생체 인식 데이터, 산업기밀 등 민감한 정보를 다루는 시스템에서 이러한 보안성은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해킹이나 사이버 공격에 대한 노출 표면(Attack Surface)도 크게 줄어들어 전체적인 보안 수준이 향상됩니다.


4.  주요 모델과 적용 방법  |  Key Models & Implementation

임베디드 AI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모델은 TinyML 기반의 초경량 신경망들입니다.

MicroNet, TinyBERT, SqueezeNet 등이 대표적이며, 이들은 수 킬로바이트에서 수 메가바이트 크기로 매우 작지만 실용적인 성능을 제공합니다.

특히 MicroNetImageNet 분류 작업을 512KB 메모리 내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마이크로컨트롤러 기반 시스템에서도 이미지 인식이 가능합니다.

 

센서 데이터 처리에는 1D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이나 LSTM(Long Short-Term Memory) 모델이 주로 사용됩니다. 진동 센서의 이상 감지, 온도·습도 센서의 패턴 분석, 가속도계의 동작 인식 등에 활용되며, 시계열 데이터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시계열 이상 감지 모델은 제조업의 예측 정비(Predictive Maintenance)에서 핵심 기술로 자리잡았습니다.

 

모델 최적화 기법으로는 극단적인 양자화(Extreme Quantization)가 중요합니다. 일반적인 8비트 양자화를 넘어 4비트, 2비트, 심지어 1비트(Binary Neural Network) 양자화까지 적용하여 모델 크기와 연산량을 극도로 줄입니다. 또한 가중치 공유(Weight Sharing)와 네트워크 가지치기(Network Pruning)를 통해 90% 이상의 매개변수를 제거하면서도 성능을 유지하는 기술들이 개발되었습니다.

 

개발 도구로는 TensorFlow Lite Micro가 가장 대표적입니다. 이는 C++로 작성된 경량 런타임으로, 수십 킬로바이트의 메모리만으로도 딥러닝 모델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ARM의 CMSIS-NN,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의 X-CUBE-AI, Qualcomm의 SNPE(Snapdragon Neural Processing Engine) 등도 임베디드 AI 개발을 위한 중요한 도구들입니다. 이러한 도구들은 하드웨어 가속기와의 연동, 메모리 최적화, 실시간 성능 보장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5. 주요 솔루션 및 제품 예시  |  Solutions & Products

Google의 Edge TPU(Tensor Processing Unit)는 임베디드 AI 분야의 혁신적인 제품입니다.

USB 스틱 형태의 Coral USB Accelerator는 개발자들이 손쉽게 임베디드 AI를 프로토타이핑할 수 있게 해주며, 초당 4조 번의 연산을 2와트의 저전력으로 수행합니다. Google Nest Hub의 얼굴 인식, Pixel 스마트폰의 실시간 사진 처리 등에 활용되고 있으며, 2025년 현재 수백만 개의 Edge TPU가 다양한 제품에 탑재되어 있습니다.

 

NVIDIA의 Jetson 시리즈는 고성능 임베디드 AI 플랫폼의 대표주자입니다.

Jetson Nano부터 Jetson AGX Orin까지 다양한 성능 옵션을 제공하며, 자율주행차, 산업용 로봇, 스마트 카메라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특히 Jetson AGX Orin은 초당 275조 번의 AI 연산을 20-60와트의 전력으로 수행할 수 있어, 고성능이 요구되는 임베디드 시스템에 적합합니다. Tesla의 자율주행 시스템, Amazon의 물류 로봇 등에서 실제 활용되고 있습니다.

 

Intel의 Movidius VPU(Vision Processing Unit)와 OpenVINO 툴킷도 중요한 솔루션입니다.

Movidius Myriad X는 컴퓨터 비전에 특화된 저전력 AI 칩으로, 드론, 보안 카메라, AR/VR 기기 등에 탑재됩니다. OpenVINO는 다양한 하드웨어에서 컴퓨터 비전 모델을 최적화하여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통합 개발 환경으로, Intel CPU, GPU, VPU, FPGA 등을 모두 지원합니다.

 

ARM의 Ethos-U 시리즈는 마이크로컨트롤러용 NPU의 선구자입니다.

Ethos-U55와 Ethos-U65는 ARM Cortex-M 프로세서와 함께 통합되어 매우 저전력으로 AI 추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워치의 심박수 분석, IoT 센서의 이상 감지, 스마트 스피커의 음성 인식 등에 활용되며, 밀리와트 수준의 극저전력 동작이 가능합니다.


6.  실제 적용사례  |  Real-world Applications

스마트 제조 분야에서는 Siemens의 MindSphere 플랫폼이 대표적인 성공사례입니다.

독일의 암베르크 공장에서는 수천 개의 IoT 센서와 임베디드 AI 시스템이 실시간으로 생산라인을 모니터링하며, 제품 불량률을 99.9988%까지 낮추는 데 성공했습니다. 각 생산 장비에 탑재된 임베디드 AI는 진동, 온도, 압력 등의 센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장비 이상을 사전에 감지하고, 예측 정비를 통해 다운타임을 90% 이상 줄였습니다.

 

 

농업 분야에서는 John Deere의 스마트 트랙터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트랙터에 탑재된 임베디드 AI 시스템은 카메라와 다양한 센서를 통해 작물 상태, 토양 조건, 잡초 분포 등을 실시간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정밀 파종, 선택적 제초, 최적 수확 시기 결정 등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농작물 수확량을 20-30% 증가시키고 농약 사용량을 50% 이상 줄이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의료기기 분야에서는 Medtronic의 인슐린 펌프가 혁신적인 사례입니다.

연속 혈당 모니터링 센서와 연동된 임베디드 AI 시스템이 당뇨병 환자의 혈당 변화를 실시간으로 예측하고, 자동으로 인슐린 투여량을 조절합니다. 이 시스템은 환자의 식사, 운동, 스트레스 등 다양한 요인을 학습하여 개인 맞춤형 혈당 관리를 제공하며, 임상 시험에서 혈당 조절 효과가 30% 이상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메디트로닉스의 인슐린 펌프 : 미니메드 720G ❘ https://medtronicmall.co.kr
메디트로닉스의 인슐린 펌프 : 미니메드 720G ❘ https://medtronicmall.co.kr

 

스마트 시티 분야에서는 중국 항저우시의 ET City Brain 프로젝트가 인상적입니다.

도시 전체에 배치된 수만 개의 스마트 카메라와 센서에 임베디드 AI가 탑재되어 교통 흐름, 대기 질, 소음 수준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합니다. AI가 교통 신호를 동적으로 제어하여 평균 통행 시간을 15% 단축시켰고, 응급 상황 발생 시 최적 경로를 자동으로 확보하여 구급차 도착 시간을 50% 이상 단축하는 성과를 달성했습니다.

 


7.  클라우드AI/로컬AI와의 하이브리드 구성 방안  |  Hybrid Architecture

임베디드 AI의 하이브리드 아키텍처 설계에서는 '계층적 지능(Hierarchical Intelligence)' 개념이 핵심입니다.

  • 첫 번째 계층인 센서 레벨에서는 기본적인 데이터 필터링과 이상 감지를 수행하고,
  • 두 번째 계층인 엣지 게이트웨이에서는 여러 센서의 데이터를 융합하여 중급 수준의 분석을 수행합니다.
  • 세 번째 계층인 클라우드에서는 대용량 데이터 분석과 모델 업데이트를 담당합니다. 이러한 계층적 구성을 통해 각 계층에서 최적의 성능과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실시간성이 중요한 작업은 임베디드 레벨에서, 복잡한 분석이 필요한 작업은 클라우드에서 처리하는 것이 기본 원칙입니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차의 경우 장애물 감지와 긴급 제동은 차량 내 임베디드 AI에서 처리하고, 경로 최적화와 교통 패턴 분석은 클라우드에서 수행합니다. 이때 네트워크 연결이 끊어져도 안전 기능은 계속 동작할 수 있도록 임베디드 시스템의 독립성을 보장해야 합니다.

 

데이터 동기화에서는 대역폭과 전력 효율성을 고려한 최적화가 필요합니다.

모든 원시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전송하는 대신, 임베디드 AI에서 특징 추출이나 데이터 압축을 수행하여 전송량을 90% 이상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동기화 주기를 동적으로 조절하고, 중요한 데이터는 우선순위를 높여 전송하는 적응형 동기화 메커니즘을 구현해야 합니다.

 

실제 구현 사례로는 Tesla의 자율주행 시스템이 있습니다.

차량에 탑재된 FSD(Full Self-Driving) 컴퓨터는 실시간 주행 결정을 독립적으로 수행하지만, 새로운 도로 상황이나 복잡한 시나리오는 클라우드의 도움을 받습니다. 모든 Tesla 차량의 주행 데이터는 익명화되어 클라우드에 수집되고, 이를 바탕으로 전체 차량의 AI 모델이 지속적으로 개선됩니다. 이러한 'Fleet Learning' 방식을 통해 개별 차량의 성능이 전체 네트워크의 학습 결과로부터 혜택을 받게 됩니다.


8.  적용시 고려사항  |  Implementation Considerations

기술적 고려사항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실시간 제약조건의 만족입니다.

임베디드 AI 시스템은 정확한 응답 시간이 보장되어야 하므로, 하드웨어 성능 분석과 소프트웨어 최적화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안전 관련 시스템의 경우 최악의 경우 실행 시간(Worst Case Execution Time)을 정확히 예측하고 보장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실시간 운영체제(RTOS) 사용, 인터럽트 우선순위 설정, 메모리 접근 패턴 최적화 등이 필요합니다.

 

전력 관리는 특히 배터리 기반 시스템에서 핵심적인 고려사항입니다.

동적 전력 관리(Dynamic Power Management), 슬립 모드 활용, 적응형 성능 조절 등을 통해 배터리 수명을 최대한 연장해야 합니다. 또한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 기술을 활용하여 태양광, 진동, 열 등으로부터 에너지를 수집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일부 IoT 센서는 이러한 기술을 통해 반영구적인 동작이 가능해졌습니다.

 

비즈니스 관점에서는 장기적인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임베디드 시스템은 보통 5-20년간 사용되므로, 하드웨어 수명 주기 내에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와 기능 확장이 가능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OTA(Over-The-Air) 업데이트 기능, 모듈화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 등을 초기 설계 단계부터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대량 생산 시 품질 관리와 테스트 자동화도 중요한 이슈입니다.

 

안전성과 신뢰성 측면에서는 ISO 26262(자동차), IEC 61508(산업), ISO 13485(의료기기) 등 관련 표준을 준수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하드웨어 이중화, 소프트웨어 다양성,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자가진단 등의 기법을 적용해야 하며, 전체 시스템의 안전 무결성 수준(Safety Integrity Level)을 확보해야 합니다. 또한 AI 모델의 불확실성과 오류에 대한 대비책도 필요하며, 특히 안전 관련 의사결정에서는 인간의 개입이나 보조 시스템을 통한 검증 메커니즘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