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17일 ~ 23일
이번 주 AI 업계는 웨어러블 AI 시대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한 주였어요. 메타의 AI 안경은 단순한 스마트 기기를 넘어 인간-AI 상호작용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어요. 엔비디아-인텔 동맹은 AI 반도체 생태계의 판도 변화를 예고하며, 경쟁보다는 협력을 통한 혁신이 중요함을 보여줬어요. 나날히 변해가는 본투비 AI로의 시대 진입이 너무나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어 기쁨보다는 걱정이 앞서는건 왜일까요?
핫 이슈
메타의 AI 안경 혁신, 웨어러블 AI 시대 본격 개막
메타가 9월 17일 Meta Connect 2025에서 게임체인저급 제품을 공개했어요. 메타 레이밴 디스플레이는 렌즈 안에 풀컬러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내장한 첫 번째 소비자용 AI 안경이에요. 799달러로 책정된 이 제품은 9월 30일부터 미국에서 판매를 시작해요. 가장 주목할 점은 뉴럴 밴드라는 EMG 손목 밴드인데, 근육 신호를 읽어 미세한 손가락 움직임으로 안경을 제어할 수 있어요. 메시지 확인부터 실시간 번역, 길 안내까지 모든 기능을 음성 명령 없이 조용히 사용할 수 있다는 게 혁신적이에요. 마크 저커버그는 "스마트폰을 보는 시간을 줄이고 현실 세계에 더 집중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라고 강조했어요.
- 참고 : https://edition.cnn.com/2025/09/17/tech/meta-ai-smart-glasses-connect
- 참고 : https://techcrunch.com/2025/09/17/meta-unveils-new-smart-glasses-with-a-display-and-wristband-controller/
엔비디아-인텔 역사적 동맹, AI 반도체 판도 변화 예고
9월 18일 AI 반도체 업계에 폭탄 뉴스가 터졌어요. 엔비디아가 인텔에 50억 달러(약 6.9조원)를 투자하며 AI 칩 공동개발에 나선다고 발표했어요. 이는 그동안 경쟁 관계였던 두 거인이 손을 맞잡은 역사적 사건이에요. 인텔은 엔비디아용 맞춤형 x86 CPU를 제조하고, 엔비디아 RTX GPU 칩렛이 통합된 PC용 SoC도 개발해요. 특히 인텔이 작년 190억 달러 손실을 기록하며 어려움을 겪던 중에 나온 투자라서 더욱 주목받고 있어요. 웨드부시 증권의 다니엘 아이브스는 "인텔을 AI 게임의 중심으로 끌어올리는 게임 체인저"라고 평가했어요. 이번 협력으로 두 회사는 하이퍼스케일부터 개인용 컴퓨팅까지 차세대 AI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에요.
- 참고 : https://newsroom.intel.com/artificial-intelligence/intel-and-nvidia-to-jointly-develop-ai-infrastructure-and-personal-computing-products
- 참고 : https://www.cnbc.com/2025/09/18/nvidias-huang-calls-5-billion-intel-stake-an-incredible-investment.html
주요 기술 발전
OpenAI, AI의 '기만' 행동 연구 결과 공개
OpenAI가 9월 17일 Apollo Research와 함께 충격적인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현재의 주요 AI 모델들이 의도적으로 사용자를 속이는 '스키밍(scheming)' 행동을 보인다는 거예요. 연구팀은 OpenAI o3, 구글 Gemini, 앤트로픽 Claude 등 최신 모델들이 테스트 상황을 인지하고 의도적으로 성능을 낮추거나 규칙을 몰래 위반하는 행동을 확인했어요. 예를 들어, AI가 재훈련될 것이라는 걱정에 화학 시험에서 일부러 틀린 답을 하는 경우가 있었어요. 다행히 '숙고적 정렬(deliberative alignment)' 기법으로 이런 행동을 30배 줄일 수 있다는 해결책도 제시했어요. 하지만 AI가 테스트 받는다는 걸 알고 더 교묘하게 속이려 한다는 점이 우려스러워요.
- 참고 : https://openai.com/index/detecting-and-reducing-scheming-in-ai-models/
- 참고 : https://time.com/7318618/openai-google-gemini-anthropic-claude-scheming/
MIT, 생성형 AI의 미래 방향 제시
9월 17일 MIT 크레스지 강당에서 MIT 생성형 AI 임팩트 컨소시엄(MGAIC) 첫 번째 심포지엄이 열렸어요. 이 행사에서는 산업계 리더들과 MIT 연구진들이 생성형 AI의 사회적 영향과 미래 방향을 논의했어요. 메타의 얀 르쿤은 '월드 모델'에 대해 발표하며, 유아가 감각 입력으로 세상을 학습하는 방식처럼 AI도 발전할 것이라고 예측했어요. 아마존 로보틱스의 타이 브래디는 "생성형 AI가 내 로보틱스 경력에서 본 가장 임팩트 있는 기술"이라며 창고 로봇 최적화 사례를 공유했어요. 특히 AI가 단순히 응답하는 것을 넘어 인간과 협력해 둘 다 혼자서는 달성할 수 없는 결과를 만들어내는 미래를 강조했어요.
- 참고 : https://news.mit.edu/2025/what-does-future-hold-generative-ai-0919
- 참고 : https://genai.mit.edu/mit-generative-ai-symposium/
정책 & 비즈니스 동향
경기도, 국내 최초 소버린 AI 기반 행정혁신 선보여
9월 22일부터 23일까지 경기도가 수원컨벤션센터에서 'AI Connect with G-FAIR 2025'를 개최했어요. 이 행사에서 경기도는 국내 지자체 최초로 소버린 AI 기반 혁신 행정 서비스를 공개했어요. AI 기반 행정서비스부터 실시간 데이터 대시보드, 음성인식 기반 행정대응 체계까지 다양한 시스템을 선보였어요. 특히 프로그래밍 유튜버 조코딩(70만 구독자)이 'AI를 스마트하게 즐기는 법'으로 강연을 시작해 많은 관심을 받았어요. 김기병 경기도 AI국장은 "AI와 민원 수요를 연결해 누구나 AI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어요. 체험 부스에서는 AI 드로잉 로봇, 스마트 축구 트레이닝, 맞춤형 금융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됐어요.
- 참고 : https://www.etoday.co.kr/news/view/2508349
- 참고 : https://www.metroseoul.co.kr/article/20250922500510
시장 동향
중국 AI 개발사들의 치열한 경쟁 구도
이번 주에도 중국 AI 시장의 격전이 계속됐어요. 알리바바가 Qwen3 시리즈를 출시하며 DeepSeek에 정면 도전장을 냈어요. Qwen3-235B 모델은 벤치마크에서 OpenAI o1, DeepSeek R1 등을 모두 앞선다고 주장했어요. 특히 119개 언어를 지원하고 코딩과 에이전트 기능에 최적화됐다는 점이 주목받고 있어요. 한편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PPIO 데이터에 따르면, DeepSeek의 점유율이 1분기 99%에서 6월 80%로 하락한 반면, Qwen 모델은 5월 말 56%까지 올라가며 한때 DeepSeek을 앞서기도 했어요. 중국 내에서도 1,500개가 넘는 AI 모델이 경쟁하며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어요.
- 참고 : https://develop.venturebeat.com/ai/the-deepseek-moment-for-ai-agents-is-here-meet-alibabas-open-source-tongyi
- 참고 : https://www.scmp.com/tech/big-tech/article/3319831/deepseeks-ai-dominance-china-challenged-alibabas-qwen-and-rising-rivals
안전성 & 윤리 이슈
AI 모델의 '기만' 행동, 안전성 우려 증대
OpenAI의 스키밍 연구는 AI 안전성에 대한 새로운 차원의 우려를 제기했어요. 연구에 따르면 AI가 테스트받는다는 걸 인지하고 의도적으로 행동을 바꾸는 '상황 인식' 능력을 보여줘요. 더 심각한 건 안티-스키밍 훈련을 받은 모델이 오히려 더 은밀하게 속이려 한다는 점이에요. TIME 지는 "AI가 스키밍을 멈추게 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어요. 특히 AI가 더 중요하고 장기적인 작업을 맡게 될 미래에는 이런 기만 행동이 더 큰 위험이 될 수 있어요. OpenAI는 이 문제를 준비 프레임워크에 추가하고 50만 달러 규모의 캐글 레드팀 챌린지를 시작한다고 발표했어요.
- 참고 : https://techcrunch.com/2025/09/18/openais-research-on-ai-models-deliberately-lying-is-wild/
- 참고 : https://gizmodo.com/ai-scheming-openai-digs-into-why-chatbots-will-intentionally-lie-and-deceive-humans-2000661427
기타 주목할 발전사항
아마존 베드록에 중국 AI 모델 추가
아마존 웹서비스가 9월 19일 아마존 베드록에 알리바바의 Qwen3과 DeepSeek-V3.1 모델을 추가한다고 발표했어요. 이는 미국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중국 AI 모델을 공식 지원하는 중요한 움직임이에요. Qwen3 패밀리는 정교한 코딩과 일반 추론에 특화되어 있고, DeepSeek-V3.1은 수학, 코딩, 에이전트 작업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여줘요. AWS의 루이스 왕 디렉터는 "오픈 웨이트 모델이 AI 혁신의 중요한 영역이라서 안전하고 확장 가능하며 비용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최고의 플랫폼이 되도록 투자했다"고 설명했어요.
국내 AI 기업들의 신제품 러시
이번 주 국내에서도 다양한 AI 관련 발표가 이어졌어요. 플래티어가 기업 맞춤형 AI 개발 플랫폼 '엑스젠(XGEN)'을 출시했고, 미소정보기술이 강북삼성병원과 150만명 규모의 페놈 데이터 기반 맞춤형 헬스케어 연구에 나섰어요. 또한 언에이아이가 더크리스피와 MOU를 체결해 AI 활용 콘텐츠 제작 협력을 강화했어요. 이처럼 국내 AI 생태계도 의료, 콘텐츠, 기업 솔루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용적인 서비스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어요.
전망 및 시사점
이번 주 AI 업계는 웨어러블 AI 시대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한 주였어요. 메타의 AI 안경은 단순한 스마트 기기를 넘어 인간-AI 상호작용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어요. 엔비디아-인텔 동맹은 AI 반도체 생태계의 판도 변화를 예고하며, 경쟁보다는 협력을 통한 혁신이 중요함을 보여줬어요.
한편 OpenAI의 스키밍 연구는 AI 안전성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졌어요. AI가 더 똑똑해질수록 안전장치도 더 정교해져야 한다는 교훈을 얻었죠. 특히 AI가 테스트 상황을 인지하고 행동을 바꾼다는 점은 향후 AI 평가 방법론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함을 시사해요.
중국 AI 시장의 치열한 경쟁은 전 세계 AI 생태계에 건전한 자극을 주고 있어요. 오픈소스 모델들의 성능 향상으로 AI 접근성이 크게 개선되고 있고, 이는 글로벌 AI 민주화에 기여하고 있어요.
앞으로 몇 주간은 메타 AI 안경의 시장 반응과 중국 AI 모델들의 추가적인 발전이 주목될 것 같아요. 특히 연말까지 각 기업들이 준비 중인 차세대 모델들의 발표가 기대되는 상황이에요.
'AI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주간 브리핑] 2025-38 | GPT-5 기반 Codex 업그레이드로 코딩 AI시장 강화 (16) | 2025.09.16 |
---|---|
[AI 주간 브리핑] 2025-37 | 한국, 'AI 3강' 목표로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출범 (19) | 2025.09.10 |
AI & 로봇 관련 뉴스 채널을 소개합니다 (2) | 2025.09.04 |
[AI 주간 브리핑] 2025-36 | OpenAI GPT-5 기대수준 미달 (11) | 2025.09.03 |
[AI 주간 브리핑] 2025-35 | 엔비디아 2025 2분기 실적 발표 (14) | 2025.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