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I 기획 및 분석

[디바이스 AI] 피지컬 AI(Pysical AI)의 이해

by 피크나인 2025. 10. 4.

NVIDIA의 젠슨 황 CEO는 CES 2025 기조연설에서 AI 진화의 새로운 단계를 선언했습니다. 인식 AI(Perception AI)에서 생성 AI(Generative AI)를 거쳐, 이제는 "추론하고, 계획하고, 행동할 수 있는" Physical AI의 시대가 도래했다는 것입니다.

 

그는 "범용 로봇의 ChatGPT 순간이 곧 온다"며, Physical AI가 단순한 디지털 영역을 넘어 실제 물리적 세계와 상호작용하는 AI 시스템으로 진화할 것이라 강조했습니다. 특히 전 세계적인 저출산과 제조업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hysical AI와 로봇 기술은 전략적 필수 요소가 되었으며, 향후 5조 달러 규모의 공장 최적화라는 거대한 산업적 기회를 창출할 것입니다.

 

이처럼 Physical AI는 디지털 세계에 갇혀 있던 AI에게 '신체'를 부여함으로써, 제조업부터 물류, 의료, 서비스업에 이르기까지 모든 산업을 재편할 혁신적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디바이스 AI의 궁극적 진화 형태로서 Physical AI가 우리 삶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살펴보겠습니다.


1.  정의  |  Definition

피지컬 AI(Physical AI)는 로봇, 자율주행차, 스마트 공간과 같은 자율 시스템들이 현실 물리 세계를 인지하고, 이해하며, 복잡한 행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인공지능 기술입니다.

2025년 CES에서 NVIDIA의 젠슨 황 CEO가 "인지하고 계획하고 행동하는 AI"로 정의한 이 기술은, 기존의 디지털 세계에 머물렀던 AI가 물리적인 '몸'을 갖고 현실 세계와 상호작용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합니다. 피지컬 AI는 단순히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넘어서, 센서를 통해 환경을 감지하고 액추에이터를 통해 실제 행동을 수행하는 통합적 시스템입니다.

 

이 기술의 핵심은 '공간의 이해'와 '동작의 생성'에 있습니다. 인간이 3차원 공간에서 물체의 위치, 형태, 움직임을 직관적으로 파악하고 적절한 행동을 취하듯이, 피지컬 AI도 복잡한 물리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상황을 이해하고 목적에 맞는 행동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거대언어모델(LLM)이 인간의 언어와 사고를 모방한다면, 피지컬 AI는 인간의 신체적 지능과 운동 능력을 모방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피지컬 AI의 발전 배경에는 여러 기술의 융합이 있었습니다. 컴퓨터 비전 기술의 발전으로 고해상도 3D 인식이 가능해졌고, 센서 기술의 발달로 정밀한 환경 감지가 실현되었습니다. 또한 로보틱스 분야의 액추에이터와 제어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정교한 물리적 조작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이 고성능 AI 프로세서와 결합되면서 실시간 물리 시뮬레이션과 동작 계획이 현실적으로 가능해진 것입니다. 2025년 현재 Tesla의 휴머노이드 로봇 Optimus, Boston Dynamics의 Atlas, 그리고 다양한 자율주행 시스템들이 피지컬 AI의 대표적인 구현체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물리적 환경에서 직접 상호작용하는 피지컬 AI 휴머노이드 로봇의 모습
물리적 환경에서 직접 상호작용하는 피지컬 AI 휴머노이드 로봇의 모습


2. 특징  |  Characteristics

피지컬 AI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멀티모달 센서 융합(Multi-modal Sensor Fusion) 능력입니다.

카메라, 라이다(LiDAR), 레이더, IMU(관성측정장치), 촉각 센서, 오디오 센서 등 다양한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이종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하여 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구축합니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차는 카메라로 차선과 표지판을 인식하고, 라이다로 3D 거리 정보를 측정하며, 레이더로 악천후에서의 물체를 감지하여 이 모든 정보를 융합해 안전한 주행 결정을 내립니다. 이러한 센서 융합을 통해 단일 센서의 한계를 극복하고 환경 인식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실시간 동작 계획과 제어도 피지컬 AI의 핵심 특징입니다.

물리 세계는 끊임없이 변화하므로, AI 시스템은 매 순간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여 동작 계획을 수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모델 예측 제어(Model Predictive Control),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 경로 계획(Path Planning) 등의 기술이 통합적으로 활용됩니다. 로봇 팔이 움직이는 물체를 잡는 과정에서는 물체의 궤적을 예측하고, 자신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조정하며, 접촉 시의 힘과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해야 합니다.

 

물리 시뮬레이션과 디지털 트윈 기술도 중요한 특징입니다.

실제 환경에서 시행착오를 통해 학습하는 것은 비용과 안전성 측면에서 제한이 있으므로, 가상 환경에서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대부분의 학습을 수행합니다. NVIDIA의 Omniverse, Isaac Sim 등의 플랫폼은 실제와 동일한 물리 법칙이 적용되는 가상 세계를 구축하여 로봇이 안전하게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수개월이 걸릴 실제 학습을 수십 시간으로 단축할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긴밀한 통합도 피지컬 AI만의 특징입니다.

물리적 행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AI 알고리즘뿐만 아니라 센서, 액추에이터, 제어 회로, 전력 관리 시스템 등이 모두 조화롭게 동작해야 합니다. 이는 일반적인 소프트웨어 AI와는 완전히 다른 설계 철학을 요구하며, 하드웨어의 물리적 제약과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적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하는 통합적 시스템 설계가 필요합니다.


3.  특장점  |  Advantages

피지컬 AI의 가장 큰 장점은 현실 세계에서의 직접적인 문제 해결 능력입니다.

기존의 AI가 정보 제공이나 의사결정 지원에 그쳤다면, 피지컬 AI는 실제로 물리적 작업을 수행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제조업에서 불량품을 식별하는 것을 넘어 직접 제거하거나 수리할 수 있고, 의료 분야에서는 진단을 넘어 실제 수술을 보조하거나 환자를 이송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능력은 인간의 업무를 단순히 보조하는 것을 넘어 완전히 대체할 수 있는 수준까지 발전하고 있습니다.

 

24시간 무중단 작업 능력도 중요한 장점입니다.

인간과 달리 휴식이 필요 없으므로 지속적인 작업 수행이 가능하며, 위험하거나 반복적인 작업에서 특히 유용합니다. 화재 진압, 방사능 환경 작업, 심해 탐사, 우주 개발 등 인간이 접근하기 어려운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확성과 일관성 측면에서도 인간을 능가할 수 있어, 정밀한 조립 작업이나 미세한 측정 작업에서 큰 장점을 보입니다.

 

확장성과 적응성도 뛰어납니다.

하나의 피지컬 AI 시스템이 학습한 내용은 동일한 구조의 다른 시스템들에 즉시 전파될 수 있어, 대규모 배포가 가능합니다. Tesla의 경우 한 대의 로봇이 학습한 작업을 수천 대의 동일한 로봇이 즉시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새로운 작업이나 환경에 대한 적응 학습도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어, 변화하는 생산 환경이나 서비스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비용 효율성 측면에서도 장기적으로 매우 유리합니다.

초기 투자 비용은 크지만, 인건비, 교육비, 복리후생비 등의 지속적인 인력 비용이 없으므로 장기적으로는 비용 절감 효과가 큽니다. McKinsey의 분석에 따르면, 제조업에서 피지컬 AI 도입 시 5년 내에 초기 투자비를 회수하고 이후 연간 30-50%의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합니다.


4. 주요 모델과 적용 방법  |  Key Models & Implementation

피지컬 AI에서는 Embodied AI 모델들이 핵심적으로 사용됩니다.

OpenAI의 VPT(Video Pre-Training), Google의 RT-1(Robotics Transformer), Meta의 Habitat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러한 모델들은 시각 정보와 행동 정보를 동시에 학습하여 "보고-생각하고-행동하는" 통합적 능력을 구현합니다. RT-1은 실제 로봇의 13만 개 작업 데모를 학습하여 700가지 이상의 일상적인 조작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새로운 상황에서도 기존 지식을 응용하여 작업을 수행합니다.

 

강화학습 기반의 제어 모델도 중요합니다.

특히 Actor-Critic, PPO(Proximal Policy Optimization), SAC(Soft Actor-Critic) 등의 알고리즘이 로봇 제어에 널리 사용됩니다. 이러한 모델들은 시행착오를 통해 최적의 행동 정책을 학습하며, 복잡하고 동적인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보입니다. Boston Dynamics의 Atlas 로봇은 이러한 강화학습 기술을 통해 불규칙한 지형에서도 안정적인 보행과 점프 동작을 구현했습니다.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는 3D Object Detection,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Semantic Segmentation 등의 기술이 핵심입니다. YOLO, RetinaNet, Mask R-CNN 등의 객체 인식 모델들이 실시간 환경 인식에 활용되며, NeRF(Neural Radiance Fields), Gaussian Splatting 등의 3D 재구성 기술이 정밀한 공간 이해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기술들을 통해 로봇은 복잡한 3D 환경에서도 정확한 위치 파악과 물체 인식이 가능합니다.

 

개발 프레임워크로는 ROS(Robot Operating System), NVIDIA Isaac Sim, MuJoCo, PyBullet 등이 널리 사용됩니다.

ROS는 로봇 소프트웨어 개발의 표준 플랫폼으로, 센서 데이터 처리, 모션 계획, 제어 등의 다양한 기능을 모듈화하여 제공합니다. Isaac Sim은 NVIDIA의 Omniverse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고성능 로봇 시뮬레이션 환경으로, 실제와 동일한 물리 법칙과 렌더링을 제공하여 가상 환경에서의 학습을 실제 환경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게 합니다.


5. 주요 솔루션 및 제품 예시  |  Solutions & Products

Tesla의 Optimus 휴머노이드 로봇은 피지컬 AI의 가장 야심찬 프로젝트 중 하나입니다.

자율주행차에서 축적한 AI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된 Optimus는 키 173cm, 무게 57kg의 휴머노이드 형태로, 20kg의 물체를 들고 시속 8km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Tesla는 2025년까지 5,000대의 Optimus를 생산하고 장기적으로는 연간 100만 대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공장 자동화, 가정용 서비스, 위험 작업 대행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예정이며, 예상 가격은 2-3만 달러 수준입니다.

 

Boston Dynamics의 Atlas와 Spot은 피지컬 AI 로보틱스의 선구자적 제품들입니다.

Atlas는 인간형 로봇으로 파쿠르, 백플립, 복잡한 조작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Spot은 4족 보행 로봇으로 건설 현장 감시, 공장 검사, 보안 순찰 등에 상용화되어 있습니다. 특히 Spot은 전 세계 1,000여 곳에 배치되어 실제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방사능 환경, 해상 플랫폼, 지하 터널 등 인간이 접근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NVIDIA의 Isaac 플랫폼과 Jetson 로보틱스 컴퓨터는 피지컬 AI 개발의 핵심 인프라를 제공합니다.

Isaac Sim은 실제 물리 법칙을 정확히 시뮬레이션하여 로봇이 가상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게 하며, Isaac ROS GEM들은 다양한 로보틱스 기능을 패키지로 제공합니다. Jetson AGX Orin은 초당 275 TOPS의 AI 성능을 제공하여 복잡한 피지컬 AI 알고리즘을 실시간으로 실행할 수 있으며, 자율주행 로봇, 산업용 로봇, 서비스 로봇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Amazon의 물류 로봇들도 주목할 만한 성공사례입니다.

Proteus, Cardinal, Sparrow 등의 로봇들이 Amazon의 물류 센터에서 피킹, 분류, 운반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2024년 기준으로 75만 대 이상의 로봇이 전 세계 Amazon 물류센터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로봇들은 컴퓨터 비전을 통해 수백만 가지의 상품을 인식하고, 최적 경로를 계산하여 이동하며, 정밀한 조작을 통해 상품을 안전하게 처리합니다.

 

추가적으로 중국기업의 로봇산업은 폭발적 상향 상승하고 있습니다. 아직은 그 기능이나 안정성이 미국기업의 로봇들보다 미약하긴 하지만 수년내 비용대비 성능 가성비로 산업계 전반을 장악한다고 해도 무리는 아닐 것입니다. 

 

유니트리(Unitree) - G1 & H1 중국 항저우 기반의 로봇 전문기업으로, 1만6000달러(약 2,130만원)라는 파격적인 가격에 휴머노이드 로봇 G1을 양산하고 있습니다. G1은 23개 자유도를 갖추고 시속 7km 이상으로 걸을 수 있으며, 세 손가락으로 전선 납땜이나 요리와 같은 섬세한 작업이 가능합니다. H1과 G1 모델은 2025년 CES에서 젠슨 황과 함께 무대에 올랐으며, 춘완(중국 춘절 특집 방송)에서 16대의 H1이 댄스 공연을 선보이며 주목받았습니다. 경쟁사 대비 1/5 수준의 저렴한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가정용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을 선도하며, 연구개발 플랫폼으로서의 입지를 확대할 발전 가능성이 큽니다.

 

샤오펑(XPeng) - Iron 중국 전기차 기업 샤오펑이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 '아이언'은 키 178cm, 체중 70kg으로 62개 능동 자유도를 갖추고 있으며, 자체 개발한 튜링 AI 칩을 탑재했습니다. 3,000 TOPS의 처리 능력과 720도 호크아이 비전시스템을 갖춰 자연스러운 2족 보행과 음성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이미 샤오펑의 전기차 생산 라인에서 조립 작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2026년부터 본격 양산에 돌입할 계획이며, 샤오펑은 향후 20년간 최대 19조 원을 투자할 의향을 밝혔습니다. 자율주행 기술과 AI 칩의 시너지를 활용해 산업용 로봇에서 개인 비서까지 확장 가능하며, 전기차-로봇-플라잉카를 아우르는 통합 생태계 구축으로 높은 발전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6. 실제 적용사례  |  Real-world Applications

제조업 분야에서는 BMW의 딩골핑 공장이 피지컬 AI의 모범 사례로 꼽힙니다.

이 공장에서는 KUKA의 로봇 팔들이 AI 기술과 결합되어 자동차 조립 라인에서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로봇들은 카메라와 힘 센서를 통해 부품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실시간으로 조립 방법을 조정하여 0.1mm 수준의 정밀도로 부품을 조립합니다. 이를 통해 조립 속도가 30% 향상되고 불량률이 90% 감소했으며, 인간 작업자는 더 창의적이고 복합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의료 분야에서는 다빈치 수술 로봇(da Vinci Surgical System)이 대표적인 성공사례입니다.

외과의의 손동작을 정밀하게 추적하여 로봇 팔이 미세한 수술을 수행하는데, AI 기술이 추가되면서 수술 중 출혈 예측, 최적 절개 경로 제안, 실시간 조직 분석 등의 기능이 구현되었습니다. 2024년 기준으로 전 세계 7,000대 이상의 다빈치 로봇이 연간 200만 건 이상의 수술을 수행하고 있으며, 환자의 회복 시간을 50% 단축하고 합병증을 40%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Da Vinci Xi를 활용한 수술실에서 외과의와 협업하는 로봇 수술 사례 ❘ https://www.intuitive.com
Da Vinci Xi를 활용한 수술실에서 외과의와 협업하는 로봇 수술 사례 ❘ https://www.intuitive.com

 

농업 분야에서는 John Deere의 자율주행 트랙터와 Blue River Technology(현 John Deere 자회사)의 See & Spray 시스템이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컴퓨터 비전으로 작물과 잡초를 구분하여 잡초에만 선택적으로 제초제를 분사하며, 농약 사용량을 90% 이상 줄이면서도 잡초 제거 효과는 동일하게 유지합니다. 또한 토양 상태, 작물 생장 상태, 날씨 등을 종합 분석하여 최적의 농작업 시기와 방법을 결정하여 농작물 수확량을 20-30% 증가시키는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물류 및 배송 분야에서는 Amazon의 Prime Air 드론 배송과 Waymo의 자율주행 배송 서비스가 상용화 단계에 이르렀습니다.

Prime Air는 2.5kg 이하의 소포를 30분 내에 배송할 수 있으며, 컴퓨터 비전과 장애물 회피 기술을 통해 복잡한 도심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비행합니다. Waymo는 피닉스, 샌프란시스코 등에서 완전 무인 택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2024년 기준으로 주간 20만 회 이상의 승차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7.  클라우드AI / 로컬AI와의 하이브리드 구성 방안  |  Hybrid Architecture

피지컬 AI의 하이브리드 아키텍처에서는 '실시간성'과 '안전성'이 최우선 고려사항입니다.

물리적 행동은 되돌릴 수 없고 안전에 직결되므로, 기본적인 안전 기능과 응급 대응은 반드시 로컬에서 처리되어야 합니다. 자율주행차의 경우 장애물 감지와 긴급 제동은 차량 내 시스템에서 처리하고, 경로 최적화와 교통 정보 분석은 클라우드에서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때 네트워크 연결이 끊어져도 기본적인 주행과 안전 기능은 계속 동작할 수 있도록 로컬 시스템의 독립성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대용량 학습 데이터와 복잡한 모델 훈련은 클라우드에서, 실시간 추론과 제어는 로컬에서 수행하는 분업 구조가 효과적입니다.

Tesla의 경우 전 세계 수백만 대의 차량에서 수집되는 주행 데이터를 클라우드의 Dojo 슈퍼컴퓨터에서 처리하여 개선된 AI 모델을 생성하고, 이를 OTA 업데이트를 통해 개별 차량에 배포합니다. 개별 차량은 이 모델을 사용하여 실시간 주행 결정을 내리며, 새로운 상황이나 에러 케이스는 다시 클라우드로 전송되어 모델 개선에 활용됩니다.

 

연합학습(Federated Learning)과 엣지 컴퓨팅의 결합도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개별 로봇이나 기기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직접 클라우드로 전송하는 대신, 로컬에서 학습하여 모델 매개변수만 클라우드와 공유하는 방식을 통해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도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의료 로봇이나 가정용 서비스 로봇에서 개인정보 보호가 중요한 경우에 유용한 접근 방식입니다.

 

실제 구현에서는 다단계 의사결정 구조를 활용합니다.

1단계에서는 로컬 센서와 AI로 즉각적인 반응이 필요한 상황을 처리하고, 2단계에서는 엣지 컴퓨팅을 통해 중급 수준의 계획과 최적화를 수행하며, 3단계에서는 클라우드의 고성능 AI로 장기적 전략과 복잡한 분석을 수행합니다. 각 단계별로 적절한 타임아웃과 폴백(Fallback) 메커니즘을 구현하여 상위 단계의 응답이 지연되어도 시스템이 계속 동작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합니다.


8.  적용시 고려사항   |  Implementation Considerations

기술적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은 안전성(Safety)과 신뢰성(Reliability)입니다.

피지컬 AI 시스템은 인간과 직접 상호작용하거나 중요한 물리적 작업을 수행하므로, 시스템 실패가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드웨어 이중화, 소프트웨어 다양성, 안전 모니터링, 비상 정지 메커니즘 등 다층적 안전장치가 필요합니다. 특히 ISO 26262(자동차), IEC 61508(산업), ISO 13482(로봇) 등의 국제 안전 표준을 준수해야 하며, 안전 무결성 수준(SIL)에 따른 체계적인 설계와 검증이 필수적입니다.

센서 융합과 환경 인식의 한계점도 중요한 고려사항입니다.

악천후, 조명 변화, 센서 오염, 전자기 간섭 등 다양한 환경 요인이 센서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이러한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할 수 있는 강건한(Robust) 시스템 설계가 필요합니다. 또한 AI 모델의 불확실성과 예측 오류에 대한 대비책도 마련해야 하며, 시스템의 신뢰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임계값 이하로 떨어질 경우 안전 모드로 전환하는 메커니즘이 필요합니다.

 

비즈니스 측면에서는 높은 초기 투자비용과 긴 투자 회수 기간이 주요 고려사항입니다.

피지컬 AI 시스템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센서, 액추에이터 등이 통합된 복잡한 시스템으로 개발비용이 수억원에서 수십억원에 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안전성 검증과 인증 과정에도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므로, 명확한 ROI(투자수익률) 분석과 단계적 도입 전략이 필요합니다.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서는 파일럿 프로젝트를 통한 검증 후 점진적 확대 방식을 권장합니다.

 

법적·윤리적 고려사항도 점점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피지컬 AI 시스템이 사고를 일으킬 경우의 책임 소재, 인간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AI 의사결정의 투명성과 설명가능성 등이 주요 이슈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특히 자율주행차, 의료 로봇, 무기 체계 등에서는 관련 법규와 윤리 가이드라인을 철저히 준수해야 하며, 사회적 수용성 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소통과 교육도 필요합니다. 또한 AI 시스템의 행동을 추적하고 기록할 수 있는 블랙박스 기능과 사후 분석 체계도 구축해야 합니다.

 

혼자 생각하고 혼자 판단해서 행동하는 피지컬 AI는 조만간 우리 사회에 조심스럽고 조용하고 때로는 군집형태로 스며들게 될겁니다. 어차피 우리 생활에 들어올 수 밖에 없는 구조라면 조금이라도 긍정적이고 밝은 방향으로 쓰여지는 쪽으로의 방향키를 계속 잡고 있어야 합니다.

조금만 더 안정성측면과 윤리적 측면을 고려한 차분한 도입이 진행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