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AI활용 / 제조 AI / 3) Ollama를 활용한 로컬 LLM 구축
제조업의 AI 혁신, 로컬 LLM이 답이다
현대 제조업은 디지털 전환의 핵심 기로에 서 있습니다. 특히 대규모 언어모델(LLM)의 등장으로 생산성 향상, 품질관리 자동화, 기술 문서 관리 등 다양한 영역에서 혁신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제조기업들이 데이터 보안과 비용 문제로 인해 클라우드 기반 AI 서비스 도입을 망설이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해답이 바로 로컬 LLM 환경 구축입니다.
로컬 LLM은 외부 서버에 의존하지 않고 자사 시설 내에서 직접 운영하는 언어모델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민감한 제조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지 않으면서도 AI의 강력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품질관리, 설비 진단, 기술 문서 분석 등 제조업 특화 업무에 맞춤형으로 최적화된 AI 솔루션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Ollama 플랫폼을 활용하여 제조업 환경에 최적화된 로컬 LLM을 구축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살펴보겠습니다. 이전 글에서 Ollama와 관련된 사항을 많이 언급했습니다. 그만큼 제조AI를 구축함에 있어 로컬 LLM모델을 선정하는것은 매우 중요한 단계라 할 수 있습니다. 제조 AI를 연재함에 있어 Ollama와 로컬 LLM모델에 대해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이전 글을 참조하시면 Ollama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될것으로 기대합니다. 일부 내용은 이전 글에 대한 업그레이드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
[ 차례 ] |
1. Ollama 플랫폼 이해하기
Ollama란 무엇인가?
Ollama는 로컬 환경에서 대규모 언어모델을 쉽게 실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오픈소스 플랫폼입니다.
복잡한 설정 과정 없이 간단한 명령어만으로 다양한 LLM 모델을 다운로드하고 실행할 수 있어, 개발자들 사이에서 빠르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Docker와 유사한 방식으로 모델을 관리하여, 버전 관리와 배포가 매우 직관적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Meta의 Llama 시리즈, Mistral AI의 모델들, 그리고 코딩 특화 모델인 CodeLlama 등 다양한 오픈소스 LLM을 지원합니다.
Ollama의 핵심 혁신은 모델 양자화(Quantization) 기술을 통한 메모리 효율성 향상입니다.
원래 수십 GB 크기의 모델을 4bit 또는 8bit로 양자화하여 일반적인 개발 환경에서도 실행 가능하도록 최적화했습니다. 이는 고성능 서버 없이도 개인 컴퓨터나 중간급 워크스테이션에서 LLM을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핵심 기술입니다. 또한 RESTful API를 제공하여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쉽게 통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제조업에서 Ollama가 필요한 이유
제조업에서 Ollama 기반 로컬 LLM이 필요한 첫 번째 이유는 데이터 보안입니다.
생산 공정 데이터, 품질검사 결과, 설비 운영 정보 등 민감한 제조 데이터를 외부 클라우드 서비스로 전송하지 않고도 AI 분석이 가능합니다. 특히 자동차, 반도체, 항공우주 등 보안이 중요한 산업에서는 이러한 로컬 처리 방식이 필수적입니다. GDPR, 개인정보보호법 등 각종 규제 준수 측면에서도 로컬 LLM은 매우 유리한 선택입니다.
두 번째 이유는 비용 효율성입니다.
OpenAI GPT-4나 Claude와 같은 상용 API 서비스를 대량으로 사용할 경우 월 사용료가 상당히 높아질 수 있습니다. 특히 24시간 가동되는 제조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AI 분석을 수행한다면 API 호출 비용이 급격히 증가할 수 있습니다. 반면 로컬 LLM은 초기 구축 비용 이후에는 추가 사용료가 발생하지 않아 장기적으로 매우 경제적입니다. 또한 인터넷 연결이 불안정한 공장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AI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 로컬 LLM의 핵심 개념과 기술
양자화(Quantization) 기술의 이해
양자화는 신경망 모델의 가중치를 낮은 정밀도로 변환하여 메모리 사용량과 연산량을 줄이는 핵심 기술입니다.
일반적으로 32bit 부동소수점으로 표현되는 모델 가중치를 8bit 또는 4bit 정수로 변환하면, 모델 크기를 4~8배 줄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70억 개 파라미터를 가진 Llama2-7B 모델의 경우 원래 약 28GB의 메모리가 필요하지만, 4bit 양자화를 적용하면 약 7GB로 줄어들어 일반 GPU에서도 실행 가능해집니다. 이러한 압축 과정에서 일부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지만, 실용적인 수준에서는 원본 모델과 비교해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이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습니다.
Ollama에서는 GGUF(GPT-Generated Unified Format) 형식을 사용하여 양자화된 모델을 관리합니다.
GGUF는 llama.cpp 프로젝트에서 개발한 효율적인 모델 저장 형식으로, CPU와 GPU 모두에서 빠른 추론이 가능하도록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특히 제조업 환경에서는 고성능 GPU를 항상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은데, GGUF 형식의 모델은 CPU만으로도 합리적인 성능을 제공할 수 있어 매우 실용적입니다. 또한 양자화 수준을 조절하여 메모리와 성능 사이의 균형점을 찾을 수 있어, 각 기업의 하드웨어 환경에 맞는 최적화가 가능합니다.
모델 아키텍처와 선택 기준
현재 Ollama에서 지원하는 주요 모델들은 각각 다른 특성과 용도를 가지고 있어, 제조업 업무에 따라 적절한 선택이 중요합니다.
- Llama3 시리즈는 범용적인 언어 이해와 생성 능력이 뛰어나며, 기술 문서 분석이나 품질 보고서 작성 등에 적합합니다.
- Mistral 모델은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도 높은 성능을 제공하여 리소스가 제한된 환경에서 유용합니다.
- CodeLlama는 프로그래밍 언어에 특화되어 있어 자동화 스크립트 생성이나 PLC 코드 분석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제조기업 규모별 추천 모델 구성
기업 규모 | 직원 수 | 예상 사용자 | 1순위 모델 | 2순위 모델 | 특화 모델 | 권장 하드웨어 | 예상비용 |
소규모 (스타트업) | ~30명 | 5-10명 | Mistral 7B | - | - | 16GB RAM, 4코어 | 300만원 |
중소기업 | 30-100명 | 10-25명 | Llama3 8B | Mistral 7B | - | 32GB RAM, 8코어, GTX 4090 | 1000만원 |
중견기업 | 100-300명 | 25-50명 | Llama3 13B | Llama3 8B | CodeLlama 7B | 64GB RAM, 12코어, RTX 5090 | 1500만원 |
대기업 | 300명+ | 50명+ | Llama3 70B | Llama3 13B | CodeLlama 13B | 128GB+ RAM, 24코어, RTX 5090 * 2EA | 2000만원+ |
용도별 최적 모델 선택 가이드
주요 용도 | 1순위 모델 | 2순위 모델 | 필요 메모리 | 응답 품질 | 처리 속도 | 적용분야 |
품질관리 문서 분석 | Llama3 13B | Llama3 8B | 32GB | ★★★★★ | ★★★☆☆ | 품질보고서, 불량분석 |
안전 수칙 안내 | Llama3 8B | Mistral 7B | 16GB | ★★★★☆ | ★★★★☆ | 안전매뉴얼, 사고예방 |
기술 매뉴얼 검색 | Mistral 7B | Llama3 8B | 16GB | ★★★★☆ | ★★★★★ | 설비매뉴얼, 작업지시 |
작업 절차 안내 | Llama3 8B | Llama3 13B | 16-32GB | ★★★★★ | ★★★★☆ | SOP, 작업표준 |
PLC/자동화 코드 | CodeLlama 13B | CodeLlama 7B | 32GB | ★★★★★ | ★★★☆☆ | PLC 프로그래밍, 자동화 |
설비 진단 지원 | Llama3 13B | Mistral 7B | 32GB | ★★★★★ | ★★★☆☆ | 고장진단, 예방정비 |
모델 선택 시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는 파라미터 수, 메모리 요구사항, 그리고 특화 영역입니다.
- 7B(70억) 파라미터 모델은 일반적인 워크스테이션에서 실행 가능하며, 기본적인 문서 분석과 질답에 충분한 성능을 제공합니다.
- 13B 모델은 더 정확한 결과를 원할 때 선택할 수 있지만, 최소 16GB 이상의 RAM이 필요합니다.
- 70B 모델은 매우 높은 성능을 제공하지만 상당한 하드웨어 리소스가 필요하므로, 대기업의 중앙 AI 서버에서 운영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 제조업 초보자의 경우 7B 모델부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확장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3. Ollama 설치 및 기본 설정
시스템 요구사항 및 준비사항
Ollama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최소 시스템 요구사항을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CPU는 x86_64 아키텍처를 지원하는 Intel 또는 AMD 프로세서가 필요하며, 최소 8코어 이상을 권장합니다. 메모리는 8GB가 최소 요구사항이지만, 실용적인 성능을 위해서는 16GB 이상을 강력히 권장합니다. 특히 13B 이상의 큰 모델을 사용할 계획이라면 32GB 메모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저장공간은 모델 파일 크기를 고려하여 최소 50GB 이상의 여유 공간을 확보해야 하며, SSD 사용 시 더 빠른 모델 로딩이 가능합니다. 대부분 기존의 컴퓨터를 이용해서 접근하기 쉽게 말씀드리는 용량이며, 현실적으로는 16core이상의 CPU와 64GB의 램으로 구성할 것을 권장 드립니다.
GPU는 LLM모델을 활용하기 위한 필수사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NVIDIA GPU가 있다면 CUDA를 활용하여 훨씬 빠른 추론 속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RTX 4090(16GB) 이상급 GPU를 권장하며(때로는 RTX 1080모델에서도 돌아가긴 하지만 너무나 제한점이 많습니다.), VRAM 용량이 클수록 더 큰 모델을 GPU에서 직접 실행할 수 있습니다.
운영체제는 Windows 10/11, macOS 10.15 이상, 또는 주요 Linux 배포판을 지원합니다. 제조업 환경에서는 안정성을 위해 Ubuntu LTS 또는 CentOS 같은 서버용 Linux 배포판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네트워크 연결은 초기 모델 다운로드를 위해 필요하지만, 이후 로컬 실행 시에는 인터넷 연결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단계별 설치 과정
Windows 환경 설치
Windows 환경에서 Ollama 설치는 매우 간단합니다. 다음 단계를 순서대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 1.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 2. 공식 웹사이트에서 설치 파일 다운로드
# https://ollama.com/download/windows 접속하여 OllamaSetup.exe 다운로드
# 3. 설치 파일 실행 (GUI 설치)
# OllamaSetup.exe 더블클릭하여 설치 진행
# 4. 설치 확인
ollama --version
Linux 환경 설치
Linux 환경에서는 간단한 스크립트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 Ubuntu/Debian 기반 시스템
curl -fsSL https://ollama.com/install.sh | sh
# 설치 확인
ollama --version
# 서비스 시작
sudo systemctl start ollama
sudo systemctl enable ollama
# 서비스 상태 확인
sudo systemctl status ollama
Docker를 통한 설치 (권장)
격리된 환경에서 안전하게 운영하고 싶다면 Docker를 사용합니다:
# Ollama Docker 이미지 실행
docker run -d \
--name ollama-server \
-v ollama:/root/.ollama \
-p 11434:11434 \
--gpus all \
ollama/ollama
# 컨테이너 상태 확인
docker ps
# 컨테이너 내에서 모델 실행
docker exec -it ollama-server ollama run llama3:8b
첫 번째 모델 다운로드 및 설치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 단계로 모델을 다운로드합니다:
# 1. 기본 LLaMA3 8B 모델 다운로드
ollama pull llama3:8b
# 2. 다운로드 진행상황 확인 (별도 터미널에서)
ollama ps
# 3. 설치된 모델 목록 확인
ollama list
# 4. 모델 실행 및 테스트
ollama run llama3:8b
# 5. 테스트 질문 (대화형 모드에서)
# >>> 안녕하세요, 제조업 품질관리에 대해 알려주세요
# 6. 대화 종료
# >>> /bye
여러 모델 동시 설치
제조업 용도별로 다양한 모델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 코딩 특화 모델 (PLC, 자동화 스크립트용)
ollama pull codellama:13b
# 경량화 모델 (리소스 제한 환경용)
ollama pull mistral:7b
# 대화형 모델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ollama pull llama3:8b
# 설치된 모든 모델 확인
ollama list
# 특정 모델 삭제 (필요시)
ollama rm mistral:7b
설치 검증 및 기본 테스트
모든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으로 검증합니다:
# API 서버 응답 확인
curl http://localhost:11434/api/version
# 간단한 API 테스트
curl -X POST http://localhost:11434/api/generate \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d '{
"model": "llama3:8b",
"prompt": "제조업에서 품질관리의 중요성을 설명해주세요",
"stream": false
}'
# 모델 상태 확인
ollama ps
기본 설정 및 최적화
Ollama의 기본 설정은 대부분의 경우 충분하지만, 제조업 환경에 맞게 몇 가지 설정을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과 같은 환경 변수와 설정으로 시스템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Windows 환경 변수 설정
# Windows 환경에서 환경 변수 설정
# 시스템 속성 > 고급 > 환경 변수 또는 PowerShell 사용
# API 서버 바인딩 주소 (다른 컴퓨터에서 접근 허용)
setx OLLAMA_HOST "0.0.0.0:11434" /M
# 메모리 최적화 설정
setx OLLAMA_MAX_LOADED_MODELS "2" /M
setx OLLAMA_NUM_PARALLEL "4" /M
setx OLLAMA_MAX_VRAM "8GB" /M
# 모델 유지 시간 (60분)
setx OLLAMA_KEEP_ALIVE "60m" /M
# 모델 저장 위치 변경 (더 큰 디스크로)
setx OLLAMA_MODELS "D:\ollama\models" /M
# 설정 확인
echo %OLLAMA_HOST%
Linux 환경 변수 설정
# /etc/environment 파일 편집 또는 .bashrc에 추가
sudo nano /etc/environment
# 다음 내용 추가
OLLAMA_HOST=0.0.0.0:11434
OLLAMA_MAX_LOADED_MODELS=2
OLLAMA_NUM_PARALLEL=4
OLLAMA_KEEP_ALIVE=60m
OLLAMA_MODELS=/opt/ollama/models
# 즉시 적용
source /etc/environment
# 서비스 재시작
sudo systemctl restart ollama
# 설정 확인
echo $OLLAMA_HOST
Docker 환경 최적화 설정
# 최적화된 Docker 실행
docker run -d \
--name ollama-manufacturing \
-v /opt/ollama:/root/.ollama \
-p 11434:11434 \
--gpus all \
-e OLLAMA_HOST=0.0.0.0:11434 \
-e OLLAMA_MAX_LOADED_MODELS=2 \
-e OLLAMA_NUM_PARALLEL=4 \
-e OLLAMA_KEEP_ALIVE=60m \
--memory="16g" \
--cpus="8" \
ollama/ollama
# 컨테이너 로그 확인
docker logs ollama-manufacturing
# 리소스 사용량 모니터링
docker stats ollama-manufacturing
GPU 사용 설정은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주의 깊게 설정해야 합니다.
NVIDIA GPU가 있는 경우 자동으로 감지되어 활용되지만, OLLAMA_GPU_LAYERS 환경 변수를 통해 GPU에서 처리할 레이어 수를 직접 지정할 수 있습니다. VRAM이 부족한 경우 이 값을 줄여서 일부만 GPU에서 처리하고 나머지는 CPU에서 처리하도록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보안이 중요한 제조 환경에서는 OLLAMA_ORIGINS 변수를 설정하여 허용된 도메인에서만 API 접근이 가능하도록 제한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4. 다양한 LLM 모델 비교 분석
제조업 특화 모델 성능 테스트
제조업 환경에서 각 모델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실제 업무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테스트해보겠습니다. 품질관리 보고서 분석, 기술 매뉴얼 질답, 설비 이상 진단 등 세 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어 각 모델의 성능을 비교합니다. Llama3 8B 모델은 일반적인 제조업 문서 이해도가 높고 한국어 처리 능력도 우수한 편입니다. 특히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과 같은 표준 용어들을 잘 이해하며, 불량률 계산이나 통계적 품질관리에 대한 설명도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응답 속도는 일반적인 워크스테이션에서 초당 10-15 토큰 정도로 실용적인 수준입니다.
Mistral 7B 모델은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임에도 불구하고 기술적 정확성이 높아 제조업 전문 용어 처리에 강점을 보입니다. 특히 기계가공, 용접, 조립 공정 등에 관한 질문에 대해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답변을 제공합니다. 메모리 사용량이 적어 리소스가 제한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하며, 배치 처리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에 통합하기에 적합합니다. CodeLlama 모델은 PLC 프로그래밍, SCADA 시스템 설정, 자동화 스크립트 작성 등 프로그래밍 관련 업무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합니다. 특히 Siemens TIA Portal, Rockwell Studio 5000 등 산업용 개발 환경에서 사용하는 언어들에 대한 이해도가 높습니다.
모델별 메모리 사용량과 성능 분석
각 모델의 메모리 사용 패턴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다음은 실제 제조업 환경에서 측정한 성능 데이터를 바탕으로 구성한 상세 분석표입니다.
모델별 시스템 리소스 요구사항 (실측 기준)
모델명 | 모델크기 | RAM사용 | VRAM사용 | 초기로딩 | CPU사용률 | 권장최소메모리 | 권장메모리 |
Mistral 7B | 4.1GB | 5.2GB | 4.8GB | 8-12초 | 60-70% | 8GB | 16GB |
Llama3 8B | 4.7GB | 6.8GB | 5.4GB | 12-18초 | 65-75% | 12GB | 16GB |
Llama3 13B | 7.3GB | 11.5GB | 9.2GB | 18-25초 | 70-80% | 16GB | 32GB |
CodeLlama 7B | 4.1GB | 5.5GB | 4.9GB | 10-15초 | 65-70% | 8GB | 16GB |
CodeLlama 13B | 7.3GB | 11.2GB | 9.0GB | 20-28초 | 75-85% | 16GB | 32GB |
Llama3 70B | 39GB | 52GB | 45GB | 60-120초 | 85-95% | 64GB | 128GB |
성능 벤치마크 결과 (제조업 문서 기준)
모델명 | 토큰/초(CPU) | 토큰/초(GPU) | 기술용어정확도 | 절차설명품질 | 한국어처리 | 동시처리 | 종합평점 |
Mistral 7B | 15-20 | 40-50 | 85% | 80% | 75% | 8-10 req/min | ★★★★☆ |
Llama3 8B | 12-18 | 35-45 | 88% | 85% | 82% | 6-8 req/min | ★★★★☆ |
Llama3 13B | 8-12 | 25-35 | 92% | 90% | 88% | 4-6 req/min | ★★★★★ |
CodeLlama 7B | 14-19 | 38-48 | 78% | 72% | 68% | 7-9 req/min | ★★★☆☆ |
CodeLlama 13B | 9-14 | 28-38 | 85% | 78% | 75% | 5-7 req/min | ★★★★☆ |
Llama3 70B | 3-5 | 12-18 | 96% | 95% | 94% | 1-2 req/min | ★★★★★ |
제조업 특화 업무별 성능 평가
업무영역 | Mistral 7B | Llama3 8B | Llama3 13B | CodeLlama 13B | 최적선택 | 비고 |
품질관리 보고서 | ★★★☆☆ | ★★★★☆ | ★★★★★ | ★★☆☆☆ | Llama3 13B | 통계 해석 중요 |
안전 수칙 설명 | ★★★★☆ | ★★★★★ | ★★★★★ | ★★☆☆☆ | Llama3 8B | 명확성 우선 |
설비 매뉴얼 검색 | ★★★★★ | ★★★★☆ | ★★★★★ | ★★★☆☆ | Mistral 7B | 속도 중요 |
작업 지시서 해석 | ★★★★☆ | ★★★★★ | ★★★★★ | ★★☆☆☆ | Llama3 8B | 실용성 중시 |
PLC 코드 분석 | ★★☆☆☆ | ★★☆☆☆ | ★★★☆☆ | ★★★★★ | CodeLlama 13B | 전문 분야 |
공정 개선 제안 | ★★★☆☆ | ★★★★☆ | ★★★★★ | ★★★☆☆ | Llama3 13B | 분석력 필요 |
고장 진단 지원 | ★★★☆☆ | ★★★★☆ | ★★★★★ | ★★★☆☆ | Llama3 13B | 복합적 사고 |
메모리 최적화 실전 팁
# 메모리 사용량 실시간 모니터링
watch -n 2 "ollama ps"
# 특정 모델 메모리에서 언로드
curl -X POST http://localhost:11434/api/generate \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d '{"model": "llama3:8b", "keep_alive": 0}'
# 시스템 메모리 상태 확인
free -h && echo "---" && nvidia-smi
# 모델 동시 실행 개수 제한
export OLLAMA_MAX_LOADED_MODELS=2
Llama3 8B 모델은 4bit 양자화 상태에서 약 5-6GB의 RAM을 사용하며, 초기 로딩 시간은 SSD 기준 약 10-15초입니다. 대화가 길어질수록 컨텍스트 메모리가 추가로 필요하므로, 장시간 운영 시에는 8-10GB의 여유 메모리를 확보하는 것이 좋습니다.
GPU를 사용할 경우 VRAM 6GB 이상이 권장되며, 이때 추론 속도가 약 2-3배 향상됩니다. CPU 전용 모드에서도 충분히 실용적인 성능을 제공하므로, GPU가 없는 환경에서도 문제없이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준들은 실제 모델에 대한 활용적인 측면이며, 추가적인 RAG 또는 파인튜닝시에는 기본적으로 제시된 성능의 4배이상의 CPU/GPU리소스를 필요로 합니다.
5. REST API를 통한 프로그래밍 연동
Python을 활용한 기본 API 호출
Ollama는 RESTful API를 제공하여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Python을 사용한 기본적인 API 호출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requests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HTTP POST 요청을 통해 모델과 통신할 수 있습니다. 기본 엔드포인트는 http://localhost:11434/api/generate이며, JSON 형태로 모델명과 프롬프트를 전송합니다. 응답은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되므로,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텍스트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 경험이 우수합니다. 특히 긴 기술 문서를 분석하거나 복잡한 품질 보고서를 생성할 때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합니다.
import requests
import json
def query_ollama(prompt, model="llama3:8b"):
url = "http://localhost:11434/api/generate"
data = {
"model": model,
"prompt": prompt,
"stream": False
}
try:
response = requests.post(url, json=data, timeout=60)
response.raise_for_status()
result = response.json()
return result['response']
except requests.exceptions.RequestException as e:
print(f"API 호출 중 오류 발생: {e}")
return None
# 사용 예제
quality_question = """
우리 공장의 불량률이 최근 증가하고 있습니다.
다음 데이터를 분석하여 주요 원인을 찾아주세요:
- 1월: 2.1%, 2월: 2.8%, 3월: 3.5%
- 주요 불량 유형: 치수 부족, 표면 거칠기, 조립 오류
"""
answer = query_ollama(quality_question)
print("AI 분석 결과:", answer)
이 코드는 제조업 품질관리 데이터를 AI에게 분석 요청하는 기본적인 패턴을 보여줍니다. 실제 운영 환경에서는 오류 처리, 타임아웃 설정, 재시도 로직 등을 추가하여 더욱 안정적인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고급 API 활용 기법
더 복잡한 제조업 시나리오에서는 고급 API 기능들을 활용해야 합니다.
컨텍스트 관리 기능을 통해 이전 대화 내용을 기억하면서 연속적인 분석이 가능합니다. 이는 설비 점검 체크리스트를 단계별로 진행하거나, 복잡한 문제 해결 과정을 AI와 함께 진행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시스템 프롬프트 기능을 활용하면 AI의 역할과 응답 스타일을 미리 정의하여, 제조업 전문가처럼 답변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당신은 30년 경력의 품질관리 전문가입니다. ISO 9001 기준에 따라 정확하고 실용적인 조언을 제공해주세요"와 같은 시스템 프롬프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import asyncio
import aiohttp
class ManufacturingAI:
def __init__(self, base_url="http://localhost:11434", model="llama3:8b"):
self.base_url = base_url
self.model = model
self.conversation_history = []
async def chat_async(self, message, system_prompt=None):
"""비동기 방식으로 AI와 대화"""
url = f"{self.base_url}/api/chat"
messages = []
if system_prompt:
messages.append({"role": "system", "content": system_prompt})
# 이전 대화 내역 추가
messages.extend(self.conversation_history)
messages.append({"role": "user", "content": message})
data = {
"model": self.model,
"messages": messages,
"stream": False
}
async with aiohttp.ClientSession() as session:
async with session.post(url, json=data) as response:
result = await response.json()
ai_response = result['message']['content']
# 대화 내역 저장
self.conversation_history.extend([
{"role": "user", "content": message},
{"role": "assistant", "content": ai_response}
])
return ai_response
def clear_history(self):
"""대화 내역 초기화"""
self.conversation_history = []
# 사용 예제
async def quality_analysis_workflow():
ai = ManufacturingAI()
system_prompt = """
당신은 제조업 품질관리 전문가입니다.
ISO 9001 표준을 기반으로 정확하고 실용적인 분석을 제공하며,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해주세요.
"""
# 1단계: 현황 분석
response1 = await ai.chat_async(
"3월 불량률 3.5%는 목표 대비 어떤 수준인가요? 일반적인 제조업 평균과 비교해주세요.",
system_prompt
)
print("현황 분석:", response1)
# 2단계: 원인 분석 (이전 대화 맥락 유지)
response2 = await ai.chat_async(
"치수 부족, 표면 거칠기, 조립 오류 중 우선순위를 정하고 각각의 일반적인 원인을 알려주세요."
)
print("원인 분석:", response2)
# 3단계: 개선 방안
response3 = await ai.chat_async(
"각 원인별로 구체적인 개선 방안과 구현 일정을 제안해주세요."
)
print("개선 방안:", response3)
# 비동기 실행
asyncio.run(quality_analysis_workflow())
이러한 고급 기법을 활용하면 단순한 질답을 넘어서 복잡한 제조업 워크플로우를 AI와 함께 진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설비 진단, 공정 개선, 품질 분석 등 여러 단계로 구성된 업무에서 매우 효과적입니다.
6. 성능 최적화 및 운영 고려사항
메모리 관리 및 성능 튜닝
로컬 LLM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메모리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Ollama는 기본적으로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를 제공하지만, 제조업 환경의 24시간 연속 운영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최적화가 필요합니다.
첫째, 모델 로딩 전략을 통해 사용 빈도가 높은 모델은 메모리에 상주시키고, 가끔 사용하는 모델은 필요 시에만 로딩하도록 설정합니다. 이를 위해 OLLAMA_KEEP_ALIVE 환경 변수를 조정하여 모델이 메모리에 유지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둘째, 컨텍스트 윈도우 크기를 적절히 조정하여 긴 대화나 대용량 문서 처리 시에도 메모리 오버플로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합니다.
동시성 처리 최적화도 중요한 고려사항입니다.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질문하거나, 배치 처리 작업이 실행될 때를 대비하여 적절한 큐잉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Python의 asyncio와 aiohttp를 활용하여 비동기 처리를 구현하면, 단일 서버에서도 수십 개의 동시 요청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Redis나 RabbitMQ 같은 메시지 큐를 활용하여 부하가 높을 때 요청을 임시 저장하고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GPU 사용 시에는 배치 사이즈를 조정하여 여러 요청을 함께 처리함으로써 GPU 활용률을 높이고 전체적인 처리량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모니터링 및 로깅 시스템
제조업 환경에서는 시스템의 안정성과 추적 가능성이 매우 중요하므로, 포괄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시스템 리소스 모니터링을 위해 CPU 사용률, 메모리 사용량, GPU 활용률, 디스크 I/O 등을 실시간으로 추적합니다. Prometheus와 Grafana를 활용하면 이러한 메트릭들을 시각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임계값 초과 시 자동으로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메모리 사용률이 90% 이상 지속되거나, 응답 시간이 평상시보다 크게 증가하는 경우 즉시 알림을 받아 문제를 조기에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응용 레벨 로깅도 매우 중요합니다.
각 질문과 답변을 로그로 남겨 품질 개선에 활용하고, 시스템 오류나 부적절한 답변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로그 구조는 JSON 형태로 표준화하여 검색과 분석이 용이하도록 설계합니다. 질문 내용, 검색된 문서, 생성된 답변, 응답 시간, 사용자 정보 등을 체계적으로 기록합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사용자 식별 정보는 해시화하여 저장하고, 민감한 기술 정보는 적절히 마스킹 처리합니다.
ELK Stack(Elasticsearch, Logstash, Kibana)을 활용하면 대량의 로그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 저장, 분석할 수 있어 시스템 개선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보안 및 접근 제어
제조업 환경의 보안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다층적인 보안 체계를 구축해야 합니다.
네트워크 레벨에서는 방화벽 설정을 통해 필요한 포트만 개방하고, VPN을 통한 접근만 허용하도록 제한합니다. Ollama API는 기본적으로 인증 없이 접근 가능하므로, 리버스 프록시(Nginx, Apache)를 앞단에 배치하여 인증 및 권한 관리를 구현해야 합니다. JWT(JSON Web Token) 기반의 인증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용자별로 접근 권한을 차별화하고, 세션 만료 시간을 적절히 설정하여 보안을 강화합니다.
데이터 보호 측면에서는 전송 중 암호화와 저장 시 암호화를 모두 적용해야 합니다. HTTPS를 통한 통신 암호화는 기본이며, 민감한 기술 문서나 질문 내용은 AES-256 암호화를 적용하여 저장합니다. 특히 품질 데이터나 생산 정보 등 영업 기밀에 해당하는 내용은 역할 기반 접근 제어(RBAC)를 통해 권한이 있는 사용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제한합니다. 감사 로그(Audit Log) 기능을 구현하여 누가, 언제, 어떤 정보에 접근했는지 추적할 수 있도록 하고, 이상 행위 탐지 시스템을 통해 비정상적인 접근 패턴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합니다.
7. 결론 및 향후 발전 방향
Ollama를 활용한 로컬 LLM 구축은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에 있어 매우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해결책입니다.
데이터 보안을 유지하면서도 강력한 AI 기능을 활용할 수 있어, 민감한 제조 정보를 다루는 기업들에게 이상적인 선택이 됩니다. 특히 품질관리, 기술 문서 분석, 설비 진단 등 제조업 핵심 업무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실무적 가치를 제공합니다. 초기 구축 후에는 지속적인 사용 비용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장기적으로 매우 경제적이며, 기업 내부 데이터로 추가 학습이나 파인튜닝을 통해 더욱 전문화된 AI 시스템으로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인터넷 연결이 불안정한 공장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조업 특성에 매우 적합합니다.
향후 발전 방향으로는 멀티모달 AI 기능 확장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 영상, 음성 데이터를 함께 처리하여 더욱 종합적인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설비 이상 징후를 소리나 진동 패턴으로 감지하고, 결함 이미지를 분석하여 품질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는 등의 고도화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IoT 센서 데이터와의 연동을 통해 실시간 생산 데이터를 분석하고 예측적 유지보수(Predictive Maintenance)를 수행하는 통합 플랫폼으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발전을 통해 단순한 문서 검색 도구를 넘어서 제조 현장의 종합적인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참조문헌
- Taori, R., et al. (2023). "Alpaca: A Strong, Replicable Instruction-Following Model." Stanford HAI.
- Chiang, W., et al. (2023). "Vicuna: An Open-Source Chatbot Impressing GPT-4 with 90% ChatGPT Quality." UC Berkeley.
- Rozière, B., et al. (2023). "Code Llama: Open Foundation Models for Code." Meta AI Research.
- Jiang, A.Q., et al. (2023). "Mistral 7B." Mistral AI.
- Lewis, P., et al. (2020).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for Knowledge-Intensive NLP Tasks." Facebook AI Research.
- Karpukhin, V., et al. (2020). "Dense Passage Retrieval for Open-Domain Question Answering." Facebook AI Research.
- Wang, S., et al. (2023). "Large Language Models in Manufacturing: A Survey and Future Directions." Manufacturing Intelligence Review.
- ISO 9001:2015 Quality Management Systems - Requirements.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 Chen, L., et al. (2023). "Industrial AI Application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Manufacturing."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Informatics.
- Kumar, A., et al. (2023). "Edge AI in Manufacturing: Local Processing for Real-Time Decision Making." Journal of Manufacturing Systems.
FAQ (자주 묻는 질문)
Q1: Ollama를 사용하기 위한 최소 하드웨어 요구사항은 무엇인가요?
A: 최소 요구사항은 8GB RAM, 4코어 CPU, 50GB 저장공간입니다. 하지만 실용적인 성능을 위해서는 16GB RAM, 8코어 CPU를 권장하며, NVIDIA GPU가 있으면 추론 속도를 크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 특히 13B 이상의 큰 모델을 사용할 계획이라면 32GB RAM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Q2: 상용 클라우드 AI 서비스와 비교했을 때 로컬 LLM의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A: 장점으로는 데이터 보안 완전 보장, 장기적 비용 절감, 인터넷 연결 불필요, 커스터마이징 자유도가 높습니다. 단점으로는 초기 구축 복잡성, 하드웨어 투자 필요, 유지보수 부담, 최신 모델 대비 성능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제조업에서는 보안과 안정성이 더 중요하므로 로컬 LLM이 유리한 경우가 많습니다.
Q3: 기존 제조 시스템과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나요?
A: 네, 가능합니다. Ollama는 RESTful API를 제공하므로 ERP, MES, SCADA 등 기존 제조 시스템과 쉽게 연동할 수 있습니다. Python, Java, C# 등 다양한 언어에서 HTTP 요청을 통해 AI 기능을 호출할 수 있으며, 실시간 데이터 분석이나 자동화된 보고서 생성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Q4: 한국어 지원은 어느 정도 수준인가요?
A: Llama3, Mistral 등 주요 모델들은 한국어를 어느 정도 지원하지만, 영어만큼 완벽하지는 않습니다. 제조업 전문 용어의 경우 추가 학습이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통해 성능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한국어 특화 모델(예: KoAlpaca)을 사용하거나, 번역 API와 조합하여 활용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Q5: 모델 업데이트나 새로운 모델 추가는 어떻게 하나요?
A: ollama pull [모델명] 명령어로 새로운 모델을 쉽게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기존 모델의 업데이트된 버전이 나오면 같은 방식으로 업데이트 가능하며, 여러 버전을 동시에 관리할 수도 있습니다. 사용자 정의 모델은 ollama create 명령어를 통해 추가할 수 있어, 기업 특화 모델을 구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Q6: 시스템 장애나 오류 발생 시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A: 로그 모니터링을 통해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자동 재시작 스크립트를 준비하여 장애에 대응합니다. 중요한 서비스의 경우 이중화 구성을 고려하고, 정기적인 백업을 통해 시스템 복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용자에게는 대체 방안(기존 매뉴얼 참조 등)을 안내하여 업무 중단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Q7: 보안 감사나 규제 준수는 어떻게 대응하나요?
A: 모든 API 호출과 데이터 접근을 로그로 기록하고, 접근 권한을 역할 기반으로 관리하여 감사 추적성을 확보합니다. GDPR, ISO 27001 등 관련 규제 요구사항에 맞춰 데이터 암호화, 접근 제어, 로그 보존 정책을 수립하고 준수해야 합니다. 정기적인 보안 점검과 침투 테스트를 통해 시스템 보안 수준을 지속적으로 검증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AI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ogle AI Studio에서 'Nano Banana'를 만나다 (2) | 2025.08.28 |
---|---|
대화형 인공지능 언어 모델 평가 플랫폼, LMArena.io (6) | 2025.08.27 |
AI 시대에 지금 당장 써봐야 할 재미있는 AI 도구들 (19) | 2025.08.21 |
[제조 AI] 2-2) 로컬 AI 인프라 구축 - (실습)제조업 AI 실제 개발환경 구축 (6) | 2025.08.18 |
[제조 AI] 2-1) 로컬 AI 인프라 구축 - 하드웨어부터 개발환경까지 (11) | 2025.08.15 |